"비상전원자동절체기(APU)"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비상전원자동절체기(APU) <ol> <li> 전자부품 <ol> <li> 계장 <ol> <li> 분전반 <ol> <li> 차단기 <ol> <li> 비상전원자동절체기(APU) Automat...)
 
잔글
20번째 줄: 20번째 줄:
 
<li>데이터센터, 병원, 공장 등 연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곳에
 
<li>데이터센터, 병원, 공장 등 연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곳에
 
<li>정상전원(1차)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전기 또는 백업 전원 등과 같은 비상전원(대체전원)으로 전환(절체)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li>정상전원(1차)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전기 또는 백업 전원 등과 같은 비상전원(대체전원)으로 전환(절체)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li>MCU가 전압,주파수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장애가 발생되면, 부하회로를 다은 전원으로 자동 전환한다.
+
<li>MCU가 전압,주파수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장애가 발생되면, 부하회로를 비상전원으로 자동 전환한다.
 
</ol>
 
</ol>
 
</ol>
 
</ol>

2022년 6월 6일 (월) 13:53 판

비상전원자동절체기(APU)

  1. 전자부품
    1. 계장
      1. 분전반
        1. 차단기
          1. 비상전원자동절체기(APU) Automatic Power Switching Unit - 이 페이지
  2. 용어
    1. 표준용어는 automatic transfer switches(ATS) 이다. 우리나라 동네에서는 APU라고 한다.
      1. 데이터센터, 병원, 공장 등 연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는 곳에
      2. 정상전원(1차)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전기 또는 백업 전원 등과 같은 비상전원(대체전원)으로 전환(절체)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3. MCU가 전압,주파수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장애가 발생되면, 부하회로를 비상전원으로 자동 전환한다.
  3. 제조회사, 모델명 알 수 없음.
    1. 이력
      1. 2022/06/03 고장품 입수함.
      2. 성남시 분당구 어느 아파트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
    2. 외관, 2009.05.11(제조년월 추정)
    3. 뚜껑을 벗기면
    4. 고전류 동박 이 적용된 제어회로 보드
    5. 소감
      1. 전력계통에 사용되는 산업용 부품인데, 제조회사 모델명이 없다.
      2. New Excellent Product(NeP) 신제품인증 대신에 신뢰성이 검증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3. 땜납 저항은 구리에 비해 6~9배 높기 때문에, 동박에 땜납을 두껍게 입히지 말고, 두꺼운 구리동박을 사용해야 했다.
        1. 사용 교류 220V에서 이렇게 납땜입힌 동박 PCB 처음봤다.
      4. 돌입전류용량이 10A를 초과해서 과열된 것 같다.
      5. 아파트 전체 정전일 때만 동작해야 하는 전기용품(비상등,보안잠금장치,보일러,소형냉장고 등)의 총 정격용량이 10A를 넘어 연결되어도 문제를 일으킨다.
    6. 결론
      1. 비상 전력 계통을 다시 살펴 용량을 줄인다.
      2. 이 제조회사에서 만든 동일 모델을 구매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