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RA 진동모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LRA 진동모터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 스피커 <li> 헤드폰 <li> 진동모터 <ol> <li> LRA 진동모터 - 이 페이지 <li> ERM...)
 
5번째 줄: 5번째 줄:
 
<li> [[전자부품]]
 
<li> [[전자부품]]
 
<ol>
 
<ol>
<li> [[스피커]]
 
<li> [[헤드폰]]
 
 
<li> [[진동모터]]
 
<li> [[진동모터]]
 
<ol>
 
<ol>
 
<li> [[LRA 진동모터]] - 이 페이지
 
<li> [[LRA 진동모터]] - 이 페이지
<li> [[ERM 진동모터]]
 
<li> [[압전체 진동모터]]
 
</ol>
 
<li> [[VCM]]
 
<li> [[버저]]
 
</ol>
 
</ol>
 
<li>Linear Resonant Actuators(LRA;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ol>
 
<ol>
<li>horizontal directions
+
<li> [[수평형]] LRA 진동모터
<ol>
+
<li> [[수직형]] LRA 진동모터
<li>용어
 
<ol>
 
<li>leaf spring, weight, permanent magnet, steel yoke, coil
 
 
</ol>
 
</ol>
</ol>
+
<li> [[ERM 진동모터]]
<li>vertical directions
 
<ol>
 
<li>15/09/23 파트론 제품
 
<gallery>
 
image:actuator1_001.jpg
 
image:actuator1_002.jpg
 
image:actuator1_003.jpg
 
image:actuator1_004.jpg
 
image:actuator1_005.jpg
 
image:actuator1_006.jpg
 
image:actuator1_007.jpg
 
image:actuator1_008.jpg
 
image:actuator1_009.jpg
 
</gallery>
 
<li>GT-B7722, 2010년 7월 출시
 
 
<ol>
 
<ol>
<li>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li> [[코인타입]] ERM 진동모터
<gallery>
+
<li> [[바타입]] ERM 진동모터
image:actuator02_006.png | 임피던스 및 위상
 
image:actuator02_007.png | 구멍 막았을 때
 
</gallery>
 
<li>사진 #1
 
<gallery>
 
image:gt_b7722_015.jpg
 
image:actuator02_001.jpg
 
image:actuator02_002.jpg
 
image:actuator02_003.jpg
 
image:actuator02_004.jpg
 
</gallery>
 
<li>사진 #2
 
<gallery>
 
image:actuator02_005.jpg
 
</gallery>
 
 
</ol>
 
</ol>
<li>삼성전자 2010년도 어떤 핸드폰에서
+
<li> [[압전체 진동모터]]
<ol>
 
<li>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1V bias에 따른(정확한 재실험이 필요함)
 
<gallery>
 
image:actuator04_002.png
 
</gallery>
 
<li>사진
 
<gallery>
 
image:actuator04_001.jpg
 
</gallery>
 
 
</ol>
 
</ol>
<li>M플러스, 2018/07/11 모델 M8405 ?
 
<ol>
 
<li>측정
 
<ol>
 
<li>R3753BH, 100Hz~1kHz로 측정
 
<gallery>
 
image:actuator06_004.png
 
image:actuator06_011.png | 분해하면서(기준은 자성유체를 잘 닦은 거한 후)
 
</gallery>
 
<li>18/08/05 ,
 
<ol>
 
<li>실험 방법
 
<gallery>
 
image:actuator06_012.jpg | 계측기
 
image:actuator06_014.jpg | 3개 구멍 존재
 
image:actuator06_013.jpg | 구멍을 막고
 
</gallery>
 
<li>파형
 
<gallery>
 
image:actuator06_015.jpg | 스피커 입력파형(구형파 비슷) vs 진동모터 출력파형(사인파 비슷)
 
image:actuator06_016.jpg | 35660A DSA로 THD 측정
 
</gallery>
 
<li>스코프 및 FFT 측정 데이터
 
<ol>
 
<li>입력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진동 스코프 파형 3가지
 
<gallery>
 
image:actuator06_017.png | 진동모터를 100Hz로 흔들면
 
image:actuator06_018.png | 260Hz로 흔들면(공진주파수이다.)
 
image:actuator06_019.png | 460Hz로 흔들면
 
</gallery>
 
<li>주파수에 따른 출력전압, THD
 
<gallery>
 
image:actuator06_020.png | THD값이 낮을수록 sine 파형이다.
 
image:actuator06_021.png | 앞 그래프 확대. 260Hz 부근이 최소 THD값을 보인다.
 
</gallery>
 
 
</ol>
 
</ol>
 
</ol>
 
</ol>
</ol>
+
<li>Linear Resonant Actuators(LRA;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li>외관
 
<gallery>
 
image:actuator06_001.jpg
 
image:actuator06_002.jpg
 
image:actuator06_003.jpg
 
</gallery>
 
<li>분해
 
<gallery>
 
image:actuator06_005.jpg
 
image:actuator06_006.jpg
 
image:actuator06_007.jpg
 
image:actuator06_008.jpg
 
image:actuator06_009.jpg
 
image:actuator06_010.jpg
 
</gallery>
 
</ol>
 
<li>2020년, M-플러스 제품으로 추정. 정사각형(10x10mm)으로 만들어 진동체 체적을 키워 진동 충격량을 키운 모델이다.
 
 
<ol>
 
<ol>
<li>LCR 미터로 Z-theta
+
<li> [[수평형]] LRA 진동모터
<li>외형
+
<li> [[수직형]] LRA 진동모터
<gallery>
 
image:lra01_001.jpg | 위면은 Vibration Damping Tape(상품명 Poron) 붙였다.
 
image:lra01_002.jpg | 테이프 뜯으니 구멍이 있다. (구멍 역할-과량의 자성유체를 면봉으로 흡수해 진동량을 키운다)
 
image:lra01_003.jpg | 양면 테이프가 있는 밑면(부착면) 외각레이저는 뚜껑용접, 안쪽 9군데 용접은 스프링 고정용
 
</gallery>
 
<li>임피던스 측정
 
<gallery>
 
image:lra01_004.png | 100~1000Hz
 
image:lra01_005.png | 200~400Hz 자세히. 고유진동수 근처에서 기생공진이 있다.
 
image:lra01_006.png | 200~400Hz에서, 네트워크 분석기로 이득과 비교. 최대임피던스 약간 위쪽이 최소 이득을 보인다.
 
image:lra01_007.png | DC 전류바이어스에 따른 임피던스 - 경향성이 없다. 그래서
 
image:lra01_008.png | -100mA~+100mA DC 전류바이어스에 따른 330Hz에서 임피던스. 한쪽이 먼저 닿는다.
 
</gallery>
 
<li>분해
 
<gallery>
 
image:lra01_009.jpg | 진동체가 뚜껑에 쾅 부딪히지 않도록
 
image:lra01_009_001.jpg | 충격완화 테이프 및 자성유체
 
image:lra01_010.jpg | 진동체를 직선으로 움직이게 하는 축이 있다. 축이 없으면 불규칙하게 진동하여 THD가 좋지 않다.
 
image:lra01_011.jpg | 진동체가 밑으로도 부딪히지 않도록 포론테이프가 붙어 있다. FPCB 동박을 왜 한 번 돌렸을까? 길이가 길면 손실인데...
 
image:lra01_012.jpg | 3지점 스프링. 동합금.
 
</gallery>
 
<li>분해 후, 뚜껑이 없는 상태에서 임피던스 측정
 
<gallery>
 
image:lra01_013.png | 외부 뚜껑이 없으면 자속이 뚝 떨어지는 듯
 
image:lra01_014.png | 그래도 공진 주파수를 350Hz로 추정
 
image:lra01_015.png | DC 전류바이어스에 따른 355Hz에서 임피던스. 부딪히지 않는다. 황동축 선반가공 거칠기에 진동체가 걸리는 듯
 
</gallery>
 
</ol>
 
</ol>
 
 
</ol>
 
</ol>
 
</ol>
 
</ol>

2020년 7월 15일 (수) 23:04 판

LRA 진동모터

  1. 링크
    1. 전자부품
      1. 진동모터
        1. LRA 진동모터 - 이 페이지
          1. 수평형 LRA 진동모터
          2. 수직형 LRA 진동모터
        2. ERM 진동모터
          1. 코인타입 ERM 진동모터
          2. 바타입 ERM 진동모터
        3. 압전체 진동모터
  2. Linear Resonant Actuators(LRA;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1. 수평형 LRA 진동모터
    2. 수직형 LRA 진동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