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스피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마이크로 스피커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 스피커 <ol> <li> 리시버용 스피커 <li> 마이크로 스피커 - 이 페이지 <li> ...)
 
잔글
94번째 줄: 94번째 줄:
 
<li>스마트폰에서
 
<li>스마트폰에서
 
<ol>
 
<ol>
 +
<li>iPhone 5S
 +
<ol>
 +
<li>임피던스 측정
 +
</ol>
 +
<li>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에서
 +
<ol>
 +
<li>위치하는 곳(휴대폰 밑이다.) 및 외형
 +
<gallery>
 +
image:redmi_note4x_032.jpg | 스피커 박스. 메탈케이스와 연결을 위한 포고핀 3개, 왼쪽 스피커 구멍, 오른쪽은 메인 마이크를 위한 공기 통로
 +
image:redmi_note4x_033.jpg | 메인 마이크 및 90도 꺽인 공기 통로
 +
image:redmi_note4x_034.jpg | 스피커 박스
 +
</gallery>
 +
<li>스피커 박스를 뜯으면
 +
<gallery>
 +
image:redmi_note4x_035.jpg | 스피커 박스속 백볼륨에 있는, 금속판에 붙어 있는 스폰지
 +
image:redmi_note4x_041.jpg | 스피커 진동판 및 마주보고 있는 금속판
 +
image:redmi_note4x_036.jpg
 +
</gallery>
 +
<li>백볼륨 속의 스폰지
 +
<gallery>
 +
image:redmi_note4x_037.jpg
 +
image:redmi_note4x_038.jpg
 +
image:redmi_note4x_039.jpg
 +
image:redmi_note4x_040.jpg
 +
image:foam_sponge01_001.jpg | 참조: 욕실용이므로 Polyester [[수지]] 스폰지로 추정함.
 +
</gallery>
 +
</ol>
 
<li>Galaxy S9용
 
<li>Galaxy S9용
 
<ol>
 
<ol>
152번째 줄: 179번째 줄:
 
</gallery>
 
</gallery>
 
<li>흡음제 종류에 따른 4가지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li>흡음제 종류에 따른 4가지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ol>
 +
<li> 삼성 갤럭시 폴더2 [[SM-G160N]]에서
 +
<gallery>
 +
image:sm_g160n_010.jpg | 인천시 BSE 회사
 +
image:sm_g160n_011.jpg | 백볼륨 구조
 +
image:sm_g160n_012.jpg | F-PCB로 연결
 +
image:sm_g160n_013.jpg | 구리선과 접합되는 곳
 +
</gallery>
 +
<li>2016년 출시 삼성 갤럭시 A7 [[SM-A710S]]
 +
<ol>
 +
<li>5가지 상태
 +
<gallery>
 +
image:a710s01_046.jpg | 상태1(원래)
 +
image:a710s01_047.jpg | 상태2(메인홀 막고)
 +
image:a710s01_048.jpg | 상태3(벤트홀 막고)
 +
image:a710s01_049.jpg | 상태4(백볼륨 파괴)
 +
image:a710s01_050.jpg | 상태5(전면 파괴)
 +
</gallery>
 +
<li>분해하면서 임피던스 측정
 +
<gallery>
 +
image:a710s01_046_001.png | #1 정상상태에서 임피던스, 위상
 +
image:a710s01_046_002.png | #1,2,3,4,5 상태에서 임피던스
 +
</gallery>
 +
<li>임피던스 해석
 +
<ol>
 +
<li>6차 밴드패스 스피커이다.
 +
<ol>
 +
<li>closed box(스피커 뒷쪽이 막힌)에 넣은 후, 소리 출구에만 tube가 형성되면 4차 band pass 필터가 된다.
 +
<li>여기에 back volume에도 튜브를 만들어 뚫으면, 6차 band pass 필터가 된다. 즉, 위 스피커는 6차 B.P 이다.
 +
</ol>
 +
<li>6차 BP 구조를 만드는 이유
 +
<ol>
 +
<li>back volume에 구멍을 뚫으면 저주파가 강화된다.
 +
<li>4차 BP이면 고주파가 약화되고, 저주파가 더 강화된다.
 +
</ol>
 +
<li>open air(상태 #5)에서는 임피던스 공진이 하나만 나온다.
 +
<ol>
 +
<li>Ported Bass-Reflex 상태이면 공진이 두 개 나온다.
 +
<li>두 공진점에서 가장 낮은지점을 보이는 주파수가 공진주파수로 정의된다.
 +
<li>두 임피던스 공진점 높이가 같으면 매치상태. 저주파 피크가 높으면 박스 공진주파수가 (드라이버 공진주파수보다???) 더 높다.
 +
<li>고주파 피크 임피던스가 크면, 박스 공진주파수가 (드라이버 공진주파수보다???) 더 낮다.
 +
</ol>
 +
<li>tube가 길고 복잡하면 여러개의 공진 피크가 측정된다.
 +
</ol>
 
</ol>
 
</ol>
 
</ol>
 
</ol>

2021년 4월 15일 (목) 09:02 판

마이크로 스피커

  1. 링크
    1. 전자부품
      1. 스피커
        1. 리시버용 스피커
        2. 마이크로 스피커 - 이 페이지
        3. 노트북용 스피커
        4. AV용 스피커
      2. 헤드폰
      3. 진동모터
      4. VCM
      5. 버저
  2. 마이크로 스피커만을 위한 기술
    1. air pressure absorbent 공기압력 흡수제(~sound 흡수제)를 사용한 Virtual Back Volume 기술
      1. 백볼륨을 키울수록 저음이 강화된다.
      2. Knowles(놀스)회사의 N'Bass (=enhanced bass)기술
        1. 기술설명
          1. 2g 표면적은 축구장 면적이다. 소형기기를 위한 소형 스피커에 채용된다.
          2. 공기를 흡수하여 압력을 줄이고, 진동판 최대진폭을 높여준다. (가정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가 아닌 공기압력?? 흡수한다?? - 같은 말인데...)
          3. 비전도성이므로 안테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그림 2012/02/20 EETIME에서
      3. Galaxy S9 스피커에서, 흡수제 제조회사 모름
  3. 핸드폰에서
    1. 판촉용 샘플에서
      1. GoerTek 스피커-1, 2016/01/18
      2. GoerTek 스피커-2, 2016/01/18
      3. Ammonite Precision, 2014/06/11
    2. 피처폰에서
      1. Motorola Z8m 휴대폰에서
        1. 보호 철망을 뜯으면 분해 나사 2개가 보인다.
        2. 스피커 어셈블리에서
    3. 스마트폰에서
      1. iPhone 5S
        1. 임피던스 측정
      2.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에서
        1. 위치하는 곳(휴대폰 밑이다.) 및 외형
        2. 스피커 박스를 뜯으면
        3. 백볼륨 속의 스폰지
      3. Galaxy S9용
        1. Rdc 및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2. 외관
        3. absorbent
        4. 침수 체크 흡수제
        5. enclosure 박스 뜯음
        6. back volume vent hole
        7. back volume
        8. sound hole
        9. dynamic module
        10. 진동판 (철판 + 잘 늘어나는 비닐? 재질)
        11. 흡음제 종류에 따른 4가지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4. 삼성 갤럭시 폴더2 SM-G160N에서
      5. 2016년 출시 삼성 갤럭시 A7 SM-A710S
        1. 5가지 상태
        2. 분해하면서 임피던스 측정
        3. 임피던스 해석
          1. 6차 밴드패스 스피커이다.
            1. closed box(스피커 뒷쪽이 막힌)에 넣은 후, 소리 출구에만 tube가 형성되면 4차 band pass 필터가 된다.
            2. 여기에 back volume에도 튜브를 만들어 뚫으면, 6차 band pass 필터가 된다. 즉, 위 스피커는 6차 B.P 이다.
          2. 6차 BP 구조를 만드는 이유
            1. back volume에 구멍을 뚫으면 저주파가 강화된다.
            2. 4차 BP이면 고주파가 약화되고, 저주파가 더 강화된다.
          3. open air(상태 #5)에서는 임피던스 공진이 하나만 나온다.
            1. Ported Bass-Reflex 상태이면 공진이 두 개 나온다.
            2. 두 공진점에서 가장 낮은지점을 보이는 주파수가 공진주파수로 정의된다.
            3. 두 임피던스 공진점 높이가 같으면 매치상태. 저주파 피크가 높으면 박스 공진주파수가 (드라이버 공진주파수보다???) 더 높다.
            4. 고주파 피크 임피던스가 크면, 박스 공진주파수가 (드라이버 공진주파수보다???) 더 낮다.
          4. tube가 길고 복잡하면 여러개의 공진 피크가 측정된다.
  4. 기타 휴대용 장치에서
    1. Smart Watch, U80
      1. 시계
      2. 스피커 - 위 Ammonite Precision 제품과 매우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