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액추에이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카메라 액추에이터
 
카메라 액추에이터
 
<ol>
 
<ol>
<li>링크
+
<li> [[전자부품]]
 
<ol>
 
<ol>
<li> [[전자부품]]
+
<li>기구
 
<ol>
 
<ol>
 
<li> [[VCM]]
 
<li> [[VCM]]
 
<ol>
 
<ol>
<li>직진 변위
+
<li> [[카메라 액추에이터]] - 이 페이지
 
<ol>
 
<ol>
<li> [[카메라 액추에이터]]
+
<li> [[AF(자동초점)]]
 +
<ol>
 +
<li> [[판스프링 VCM AF]] 카메라 액추에이터
 +
<li> [[볼 가이드 VCM AF]] 카메라 액추에이터
 +
<li> [[압전체 AF 카메라 액추에이터]]
 +
</ol>
 +
<li> [[OIS]]
 +
<ol>
 +
<li> [[볼 가이드 VCM OIS]]
 +
<li> [[와이어 서스펜션 VCM OIS]]
 +
</ol>
 +
</ol>
 
</ol>
 
</ol>
 
</ol>
 
</ol>
19번째 줄: 30번째 줄:
 
<ol>
 
<ol>
 
<li> [[압전체]]
 
<li> [[압전체]]
</ol>
 
 
</ol>
 
</ol>
 
</ol>
 
</ol>
25번째 줄: 35번째 줄:
 
<ol>
 
<ol>
 
<li>  
 
<li>  
</ol>
 
<li>AF 액추에이터(AF actuator)
 
<ol>
 
<li>기술
 
<ol>
 
<li>피드백 유무에 따라
 
<ol>
 
<li>open loop
 
<li>closed loop
 
<ol>
 
<li>주로 렌즈와 같이 움직이는 영구자석 변위를 홀 센서로 위치를 검출한다.
 
</ol>
 
</ol>
 
<li>이동 대상
 
<ol>
 
<li>moving coil
 
<li>moving permanent magnet(stationary coil)
 
</ol>
 
<li>구동기술에 따라
 
<ol>
 
<li>판 스프링에 voice coil
 
<ol>
 
<li>위 아래 leaf 스프링으로 렌즈와 코일을 고정시키고, 주변에 영구자석을 설치
 
<li>싸다. 위치 피드백 센서가 없다. (이미지 센서의 촛점 알고리즘으로 구동)
 
<li>구동거리가 짧다. 스프링 힘 때문에 렌즈를 고정시키려면 전류가 계속 소모된다.
 
</ol>
 
<li>볼 레일(rail=bushing)에 voice coil
 
<ol>
 
<li>페이조처럼 리니어 볼 부싱 반대편에 리니어 모터가 있다.
 
<li>렌즈에 영구자석을 붙이고, 코일로 영구자석을 민다.
 
<li>영구자석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홀소자를 코일 중앙에 설치 사용한다.
 
<li>위치를 고정하는데 전류 소모가 없다.
 
</ol>
 
<li>피에조
 
<ol>
 
<li>압전소자로 마찰구동 시킨다. 리니어 볼 부싱(linear ball bushing)이 반대편에 있다.
 
<li>구동거리가 길다. 위치센서가 필요하다.
 
</ol>
 
</ol>
 
</ol>
 
</ol>
 
<li>AF용
 
<ol>
 
<li>데이터시트
 
<ol>
 
<li>
 
<ol>
 
<li>stroke: 50mA에서 약 100~160um
 
<li>resonance freq: 70~90Hz (렌즈가 없는 상태에서?)
 
</ol>
 
<li>Forcecon Tech 홈페이지에서
 
<ol>
 
<li>
 
<li>
 
</ol>
 
</ol>
 
</ol>
 
<li>판스프링 사용 AF
 
<ol>
 
<li>VCM AF 액추에이터 임피던스 측정
 
<ol>
 
<li> 삼성 갤럭시 폴더2 [[SM-G160N]]에서
 
<ol>
 
<li>사진
 
<gallery>
 
image:sm_g160n_001.jpg | 색상: 와인레드
 
image:sm_g160n_057.jpg | SM-G1600
 
</gallery>
 
<li>엑셀파일
 
<li>[[카메라 액추에이터]] 전류인가하면서 임피던스 특성 측정
 
<gallery>
 
image:sm_g160n_060.jpg
 
image:sm_g160n_060_001.png | -전류는 렌즈를 튀어나오게 한다.
 
</gallery>
 
<li>앞면 사출물을 뜯어내고, [[카메라 액추에이터]] 공진주파수 관찰
 
<ol>
 
<li>판스프링(leaf spring) 관찰
 
<gallery>
 
image:sm_g160n_061.jpg
 
image:sm_g160n_062.jpg
 
</gallery>
 
<li>선 그래프
 
<gallery>
 
image:sm_g160n_062_001.png
 
image:sm_g160n_062_002.png | 앞으로 튀어나올수록 공진은 깨끗하고 공진주파수는 낮아진다.
 
</gallery>
 
<li>맵 그래프
 
<gallery>
 
image:sm_g160n_062_003.png
 
image:sm_g160n_062_004.png
 
</gallery>
 
</ol>
 
</ol>
 
<li>2012 삼성 갤럭시 S3 [[SHV-E210K]] 핸드폰에서
 
<ol>
 
<li>엑셀파일
 
</ol>
 
<li>2015 [[LG-F570S]] LG Band Play
 
<ol>
 
<li>엑셀파일
 
</ol>
 
</ol>
 
</ol>
 
<li>볼 레일(rail=bushing) 사용 AF
 
<ol>
 
<li>2012 삼성 갤럭시 S3 [[SHV-E210K]] 핸드폰에서
 
<ol>
 
<li>ball bushing bearing 및 voice coil을 사용한 [[카메라 액추에이터]]
 
<gallery>
 
image:shv_e210k_016.jpg | 외부 철판이 렌즈바렐에 붙어 있는 영구자석을 당긴다.
 
image:shv_e210k_014.jpg | 구조적으로 볼을 눌러야 한다.
 
image:shv_e210k_015.jpg
 
image:shv_e210k_019.jpg | 영구자석이 코일뒤에 있는 철판에 달라붙으려고 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있는 세라믹 볼 4개가 유격없이 눌러진다.
 
</gallery>
 
<li>실험하기 위해 코일 연결
 
<ol>
 
<li>실험 사진
 
<gallery>
 
image:shv_e210k_021.jpg
 
</gallery>
 
<li>엑셀파일 -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아직 모르겠음.
 
<gallery>
 
image:shv_e210k_021_001.png | 500Hz 부근에 공진점
 
image:shv_e210k_021_002.png | 측정주파수를 높이면서, 낮추면서 - 큰 의미는 없는 듯
 
image:shv_e210k_021_003.png | DC bias current에 따른 임피던스 - 볼 4개에서 하나가 없어진 상태에서 측정함(마찰이 커져 의도대로 동작하지 않음)
 
</gallery>
 
</ol>
 
</ol>
 
<li>2014 삼성 갤럭시 S5 [[SM-G906S]]
 
<gallery>
 
image:sm_g906s_030.jpg
 
image:sm_g906s_031.jpg | 볼 레일(rail=bushing) 사용 AF
 
image:sm_g906s_032.jpg
 
image:sm_g906s_033.jpg
 
</gallery>
 
</ol>
 
<li> [[압전체]] AF
 
<ol>
 
<li>2007년 팬택&큐리텔 스위블 피처폰 [[canU701D]]
 
<ol>
 
<li>정보
 
<ol>
 
<li>ultrasonic linear actuator,
 
<li>
 
<ol>
 
<li>
 
<li>
 
</ol>
 
</ol>
 
<li>사진
 
<gallery>
 
image:canu701d_065.jpg
 
image:canu701d_066.jpg
 
image:canu701d_067.jpg
 
image:canu701d_068.jpg
 
</gallery>
 
<li>Z, C값 측정 데이터
 
<gallery>
 
image:canu701d_066_001.png | 렌즈 위치와 상관없이 C 부품이다.
 
</gallery>
 
<li>네트워크분석기 측정 데이터
 
<gallery>
 
image:canu701d_066_002.png | 1MHz 부근에서 공진이 발생
 
image:canu701d_066_003.png | 압전체가 맞다.
 
</gallery>
 
</ol>
 
</ol>
 
<li>OIS 액추에이터(OIS actuator) Optical Image Stabilizer
 
<ol>
 
<li>2019년도 제품으로 추정
 
<ol>
 
<li>팽윤제에 24시간 담궈 뜯어내면
 
<gallery>
 
image:ism_vcm01_001.jpg
 
image:ism_vcm01_002.jpg
 
image:ism_vcm01_003.jpg
 
</gallery>
 
<li>4면 코일
 
<gallery>
 
image:ism_vcm01_004.jpg | #1 AF 드라이브 IC가 있다. 이 IC에 위치 알아내는 홀센서가 있어야 한다. closed loop 제어로 초점을 맞춘다.
 
image:ism_vcm01_005.jpg | #2 #4와 함께 한쪽 축 이동을 일으킨다. 이 축에 더 힘이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넣었다.
 
image:ism_vcm01_006.jpg | #3 홀소자가 있어 한 축 위치를 알아낸다. (자이로센서가 판정한 떨림을 MCU가 closed loop 제어한다.)
 
image:ism_vcm01_007.jpg | #4 홀소자가 있어 다른 한 축 위치를 알아낸다. (closed loop 제어)
 
</gallery>
 
<li>코일과 동박 연결 방법
 
<gallery>
 
image:ism_vcm01_009.jpg
 
image:ism_vcm01_008.jpg
 
</gallery>
 
</ol>
 
 
</ol>
 
</ol>
 
<li>조리개 액추에이터(IRIS actuator)
 
<li>조리개 액추에이터(IRIS actuator)
 
<li>셔터 (shutter)
 
<li>셔터 (shutter)
 
</ol>
 
</ol>

2022년 11월 10일 (목) 10:14 판

카메라 액추에이터

  1. 전자부품
    1. 기구
      1. VCM
        1. 카메라 액추에이터 - 이 페이지
          1. AF(자동초점)
            1. 판스프링 VCM AF 카메라 액추에이터
            2. 볼 가이드 VCM AF 카메라 액추에이터
            3. 압전체 AF 카메라 액추에이터
          2. OIS
            1. 볼 가이드 VCM OIS
            2. 와이어 서스펜션 VCM OIS
    2. 참고-1
      1. 카메라 모듈
    3. 참고-2
      1. 압전체
  2. 액추에이터
  3. 조리개 액추에이터(IRIS actuator)
  4. 셔터 (shu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