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4번째 줄: 14번째 줄:
 
</ol>
 
</ol>
 
<li> [[헤드폰]]
 
<li> [[헤드폰]]
<li>참고
+
<li>참고1
 
<ol>
 
<ol>
 
<li> [[VCM]]
 
<li> [[VCM]]
 +
</ol>
 +
<li>참고2
 +
<ol>
 +
<li> [[오디오앰프IC]]
 +
<li> [[오디오분석기]]
 
</ol>
 
</ol>
 
</ol>
 
</ol>
26번째 줄: 31번째 줄:
 
<li>영구자석을 대신하는 field coil, 움직이는 voice coil, 보청기에서는 telecoil (field coil이 방출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li>영구자석을 대신하는 field coil, 움직이는 voice coil, 보청기에서는 telecoil (field coil이 방출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ol>
 
</ol>
 +
<li>링크
 +
<ol>
 +
<li> http://education.lenardaudio.com/en/
 +
<li>스피커 평가시스템을 판매하는
 
<li>위키페디아
 
<li>위키페디아
 
<ol>
 
<ol>
42번째 줄: 51번째 줄:
 
<li> https://en.wikipedia.org/wiki/Tweeter
 
<li> https://en.wikipedia.org/wiki/Tweeter
 
<li> https://en.wikipedia.org/wiki/Full-range_speaker
 
<li> https://en.wikipedia.org/wiki/Full-range_speaker
 +
</ol>
 
</ol>
 
</ol>
 
</ol>
 
</ol>
57번째 줄: 67번째 줄:
 
</ol>
 
</ol>
 
<li>enclosure 조사  
 
<li>enclosure 조사  
 +
</ol>
 +
<li>측정 장치
 +
<ol>
 +
<li>손으로 다이얼을 돌려 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귀로 듣기 위해서
 +
<ol>
 +
<li> [[GAG-808G]] Audio Generator
 +
</ol>
 +
</ol>
 +
<li>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경 40mm 32오옴 스피커 유닛 10개 구입
 +
<ol>
 +
<li>구매품, 정격전력 10mW, 높이 7mm, 무게 20g
 +
<gallery>
 +
image:speaker03_001.jpg | 10개 약 15,000원
 +
image:speaker03_002.jpg | 외경 ~40mm
 +
</gallery>
 +
<li>10개 임피던스 측정
 +
<gallery>
 +
image:speaker03_003.png | 1번 임피던스 및 위상
 +
image:speaker03_004.png | 10개, 저항이 두 그룹으로 나뉜 것으로 보아 권선수가 다른 듯(마음대로 감은듯)
 +
image:speaker03_005.png | 10개 공진점 확대
 +
</gallery>
 +
<li>실험함1
 +
<ol>
 +
<li> , PVC pipe, straight reducer 구입하여
 +
<gallery>
 +
image:pvc_reducer01_001.jpg
 +
</gallery>
 +
<li>직경 3가지에 따른 특성
 +
<gallery>
 +
image:speaker03_006.jpg
 +
image:speaker03_009.png
 +
image:speaker03_010.png | 직경이 작은 reducer일수록 공진주파수가 낮아진다.
 +
image:speaker03_011.png | 이 1.2kHz 근처 공진이 reducer 박스의 helmholtz 공진인 듯(나중에 계산해보자)
 +
</gallery>
 +
<li>천으로 막을 때
 +
<gallery>
 +
image:speaker03_007.jpg
 +
image:speaker03_008.jpg | 4겹일 때
 +
image:speaker03_012.png
 +
image:speaker03_013.png | 공진주파수는 거의 변하지 않고, 댐핑 때문에 공진임피던스만 낮아졌다.
 +
</gallery>
 +
</ol>
 +
<li>실험함1-1 32파이에 비닐대고,
 +
<ol>
 +
<li>실험 방법
 +
<gallery>
 +
image:speaker03_022.jpg | 비닐(Parafilm)로 막고
 +
image:speaker03_023.jpg | 완전히 막고
 +
image:speaker03_024.jpg | 화장솜을 한 개, 두 개 넣고
 +
image:speaker03_025.jpg | 금속덩어리 넣고
 +
image:speaker03_026.jpg | 천을 넣고
 +
</gallery>
 +
<li>임피던스 변화-1, 비닐로 막으면
 +
<gallery>
 +
image:speaker03_027.png | 비닐로 막으면 완전히 막은 것(410Hz)이 비해 더 저주파인 250Hz을 보인다. 천이 비닐에 닿아서 더 고주파로 이동된 듯(즉, 잘못된 실험)
 +
</gallery>
 +
<li>임피던스 변화-2, 내부에 뭘 넣으면
 +
<gallery>
 +
image:speaker03_028.png
 +
image:speaker03_029.png | 금속덩어리는 내부체적을 줄이기 때문에 고주파로 이동한다. 솜을 넣을수록 저주파로 이동하면서 댐핑이 발생된다. (딱딱한)천은 댐핑이 덜 일어난다.
 +
</gallery>
 +
</ol>
 +
<li>실험함3
 +
<ol>
 +
<li>실험 사진
 +
<gallery>
 +
image:speaker03_021.jpg | 50cm 파이프를 하나 연결, 두 개 연결
 +
</gallery>
 +
<li>임피던스 그래프
 +
<gallery>
 +
image:speaker03_021_001.png | 전체
 +
image:speaker03_021_002.png | 피크 주파수
 +
image:speaker03_021_003.png | 피크주파수 선형관계. 65cm와 115cm가 연결된 것으로 측정됨. (reducer 캐비티 때문에 더 길게 측정되는 듯)
 +
</gallery>
 +
</ol>
 +
<li>실험함2
 +
<ol>
 +
<li>4개 구입, 외경 40mm [[스피커]] 끼워서 실험하기 위해
 +
<gallery>
 +
image:end_cap03_001.jpg
 +
image:end_cap03_002.jpg
 +
</gallery>
 +
<li>백볼륨 밀봉 3가지에 따른 특성
 +
<gallery>
 +
image:speaker03_014.jpg | 끼웠을 때
 +
image:speaker03_015.jpg | 테이프로 막았을 때
 +
image:speaker03_016.jpg | 밀봉했을 때
 +
image:speaker03_017.png | 특성이 완전히 다르다.
 +
image:speaker03_017_001.png | open air 상태와 sealed enclosure 상태일만 공진피크는 하나만 나온다.
 +
</gallery>
 +
<li>back volume vent hole 직경에 따른 특성. 그래서, (???) 두 피크 높이가 일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
<gallery>
 +
image:speaker03_018.jpg | Φ4mm vent hole을 뚫었을 때 사진
 +
image:speaker03_019.png | 직경이 커짐에 따라 앞 쪽 공진 피크가 높아진다.
 +
image:speaker03_020.png | 두 공진 피크가 일치하는 특성은 약 Φ3.0 구멍에서 나온다. 이 때 두 피크 사이에서 가장 낮은 저항을 갖는 주파수는  340Hz이다. (뭐 어쩌라고?)
 +
</gallery>
 +
</ol>
 +
</ol>
 +
<li>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경 15mm 32오옴 스피커 유닛 10개 구입
 +
<ol>
 +
<li>구입품
 +
<gallery>
 +
image:speaker04_001.jpg | 2개가 추가된 12개가 입고됨, 측정을 위해서 리드선을 납땜함.(+- 뒤바뀜)
 +
</gallery>
 +
<li>5개 임피던스 측정 , 공진대역이 넓기 때문에 full range 스피커인 듯
 +
<gallery>
 +
image:speaker04_006.png | 5번 샘플(두 번 측정)이 특히 문제
 +
</gallery>
 +
<li>5번 샘플 분해해보니
 +
<gallery>
 +
image:speaker04_002.jpg
 +
image:speaker04_003.jpg
 +
image:speaker04_004.jpg
 +
image:speaker04_005.jpg | 코일이 자석과 붙어 있다.
 +
</gallery>
 
</ol>
 
</ol>
 
</ol>
 
</ol>

2021년 5월 28일 (금) 12:23 판

스피커

  1. 링크
    1. 전자부품
      1. 스피커 - 이 페이지
        1. 리시버용 스피커
        2. 마이크로 스피커
        3. 노트북용 스피커
        4. 범용 스피커
        5. AV용 스피커
      2. 헤드폰
      3. 참고1
        1. VCM
      4. 참고2
        1. 오디오앰프IC
        2. 오디오분석기
  2. 기술
    1. 상식
      1. 영구자석을 대신하는 field coil, 움직이는 voice coil, 보청기에서는 telecoil (field coil이 방출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2. 링크
      1. http://education.lenardaudio.com/en/
      2. 스피커 평가시스템을 판매하는
      3. 위키페디아
        1. https://en.wikipedia.org/wiki/Loudspeaker
          1. https://en.wikipedia.org/wiki/Loudspeaker_enclosure
            1. https://en.wikipedia.org/wiki/Bass_reflex
        2. 종류
          1. https://en.wikipedia.org/wiki/Woofer
          2. https://en.wikipedia.org/wiki/Subwoofer
          3. https://en.wikipedia.org/wiki/Mid-range_speaker
          4. https://en.wikipedia.org/wiki/Tweeter
          5. https://en.wikipedia.org/wiki/Full-range_speaker
    3. 전기적 특성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al_characteristics_of_dynamic_loudspeakers
        1. free-space resonance, Fs 주파수에서 보이스코일은 최대진폭을 갖는다. 즉, 최대속도로 움직인다. 이 때 back-emf도 최대로 발생된다.
        2. Fs에서 최대 임피던스(Zmax)를 보인다.
        3. Fs보다 낮은 근처에서는 인덕터 성질을 가져 임피던스가 빠르게 증가한다.
        4. 공진에서는 순수한 저항성분이 되고, 공진을 통과하자마자 임피던스를 낮아지면서 캐퍼시터 성질을 갖는다.
        5. 이후 임피던스가 가장 낮아지는 지점인 Zmin 부근은 다시 저항성분을 갖는다.(꼭 그렇지는 않지만)
        6. 이런 Zmin 값에서 스피커의 공칭저항(nominal impedance Znom)을 정의한다.
    4. enclosure 조사
  3. 측정 장치
    1. 손으로 다이얼을 돌려 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귀로 듣기 위해서
      1. GAG-808G Audio Generator
  4.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경 40mm 32오옴 스피커 유닛 10개 구입
    1. 구매품, 정격전력 10mW, 높이 7mm, 무게 20g
    2. 10개 임피던스 측정
    3. 실험함1
      1. , PVC pipe, straight reducer 구입하여
      2. 직경 3가지에 따른 특성
      3. 천으로 막을 때
    4. 실험함1-1 32파이에 비닐대고,
      1. 실험 방법
      2. 임피던스 변화-1, 비닐로 막으면
      3. 임피던스 변화-2, 내부에 뭘 넣으면
    5. 실험함3
      1. 실험 사진
      2. 임피던스 그래프
    6. 실험함2
      1. 4개 구입, 외경 40mm 스피커 끼워서 실험하기 위해
      2. 백볼륨 밀봉 3가지에 따른 특성
      3. back volume vent hole 직경에 따른 특성. 그래서, (???) 두 피크 높이가 일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5.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경 15mm 32오옴 스피커 유닛 10개 구입
    1. 구입품
    2. 5개 임피던스 측정 , 공진대역이 넓기 때문에 full range 스피커인 듯
    3. 5번 샘플 분해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