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코드 고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전원코드 고정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 전원코드 <ol> <li> 전원코드 고정 - 이 페이지 </ol> </ol> </ol> <li>전원코드 고정 <...)
 
8번째 줄: 8번째 줄:
 
<ol>
 
<ol>
 
<li> [[전원코드 고정]] - 이 페이지
 
<li> [[전원코드 고정]] - 이 페이지
 +
</ol>
 +
</ol>
 +
</ol>
 +
<li>전원코드 내부에서
 +
<ol>
 +
<li>Schuko(쥬코우) = CEE 7/3" (sockets) and "CEE 7/4" (plugs) - 플러그 도체 직경이 4.8mm 이다.
 +
<ol>
 +
<li>플러그에서
 +
<ol>
 +
<li>헤어드라이기에서, 2021/02/23 페친이 수리의뢰함.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OFF 밀면 ON 되는 고장
 +
<ol>
 +
<li>[[스트리퍼]]에 넣으면 검정색 수지가 말랑말랑해져 칼로 자르기 쉽다.
 +
<gallery>
 +
image:cable220v10_001.jpg | 플러그 부분을 잘라서 [[스트리퍼]]에 넣어
 +
image:cable220v10_002.jpg | 18시간 경과 후
 +
image:cable220v10_003.jpg | DFI KC 한국 국가통합인증 마크, EU의 CE, 일본의 PS, 중국의 CCC와 같다.
 +
</gallery>
 +
<li>코드 고정방법 - 이번 고장의 원인
 +
<gallery>
 +
image:cable220v10_004.jpg | 앞부분 잘라내면
 +
image:cable220v10_005.jpg | 전선 고정 부위 잘라내면(전선을 당길 때 힘을 받아주는 고정장치가 없다.)
 +
</gallery>
 +
<li>내부 - 도체끼리 연결 방법 판단은 X-RAY로 검사하는 것이 좋겠다.
 +
<gallery>
 +
image:cable220v10_006.jpg | 내부
 +
</gallery>
 +
<li>클림핑으로 연결했다.
 +
<gallery>
 +
image:cable220v10_007.jpg
 +
image:cable220v10_008.jpg | 클림핑에 문제가 없다.
 +
</gallery>
 +
<li>빠진 곳 open 부위
 +
<gallery>
 +
image:cable220v10_009.jpg | 끊어진 곳
 +
image:cable220v10_010.jpg | 도금막이 벗겨져 있다.
 +
image:cable220v10_011.jpg | 칫솔 청소후, 스파크 흔적이 보인다.
 +
</gallery>
 +
<li>의견
 +
<ol>
 +
<li>클림핑 압력부족으로 전선이 빠졌다.
 +
<li>코드를 잡아 당겨보고, 굴곡 시험을 하여 접촉저항을 측정하여 판단하자.
 +
<li>X-RAY로 도체 연결 방법을 판단하자.
 +
</ol>
 +
</ol>
 
</ol>
 
</ol>
 
</ol>
 
</ol>
13번째 줄: 57번째 줄:
 
<li>전원코드 고정
 
<li>전원코드 고정
 
<ol>
 
<ol>
 +
<li>옭매듭 overhand knot
 +
<ol>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Overhand_knot
 +
<li> [[AC트랜스]]
 +
<gallery>
 +
image:down_trans03_004.jpg | [[전원코드 고정]] 옭매듭 overhand knot
 +
</gallery>
 +
</ol>
 +
<li>U자형 틈에 끼워서
 +
<ol>
 +
<li>220V 알람 [[디지탈 쿼츠시계]]
 +
<gallery>
 +
image:alarm_clock2_004.jpg | 외부전원선 고정방법
 +
image:alarm_clock2_014.jpg
 +
</gallery>
 
<li> [[충전기]], DeWALT 배터리팩 DCB127를 위한 DCB112 충전기에서
 
<li> [[충전기]], DeWALT 배터리팩 DCB127를 위한 DCB112 충전기에서
 
<gallery>
 
<gallery>
18번째 줄: 77번째 줄:
 
image:charger_dewalt01_004.jpg | AC전선이 빠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방법
 
image:charger_dewalt01_004.jpg | AC전선이 빠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방법
 
</gallery>
 
</gallery>
 +
</ol>
 
<li> [[스팀청소기]]
 
<li> [[스팀청소기]]
 
<gallery>
 
<gallery>
 
image:steam_cleaner03_010.jpg
 
image:steam_cleaner03_010.jpg
 
image:steam_cleaner03_011.jpg
 
image:steam_cleaner03_011.jpg
 +
</gallery>
 +
<li> [[다리미]], 일렉트로룩스 Electrolux EDI130 에서
 +
<gallery>
 +
image:iron1_003.jpg
 +
</gallery>
 +
<li> [[거칠기측정기]], 조작스위치에서
 +
<gallery>
 +
image:se_1700a05_001.jpg
 +
image:se_1700a05_002.jpg | 영구[[자석]]으로 고정
 +
image:se_1700a05_003.jpg
 +
image:se_1700a05_004.jpg | [[전원코드 고정]]
 +
</gallery>
 +
</ol>
 +
<li>전선 고정
 +
<ol>
 +
<li> [[카페 문릿]]
 +
<gallery>
 +
image:cafe10_017.jpg | 천정 배선
 
</gallery>
 
</gallery>
 
</ol>
 
</ol>
 
</ol>
 
</ol>

2021년 7월 18일 (일) 16:56 판

전원코드 고정

  1. 링크
    1. 전자부품
      1. 전원코드
        1. 전원코드 고정 - 이 페이지
  2. 전원코드 내부에서
    1. Schuko(쥬코우) = CEE 7/3" (sockets) and "CEE 7/4" (plugs) - 플러그 도체 직경이 4.8mm 이다.
      1. 플러그에서
        1. 헤어드라이기에서, 2021/02/23 페친이 수리의뢰함.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OFF 밀면 ON 되는 고장
          1. 스트리퍼에 넣으면 검정색 수지가 말랑말랑해져 칼로 자르기 쉽다.
          2. 코드 고정방법 - 이번 고장의 원인
          3. 내부 - 도체끼리 연결 방법 판단은 X-RAY로 검사하는 것이 좋겠다.
          4. 클림핑으로 연결했다.
          5. 빠진 곳 open 부위
          6. 의견
            1. 클림핑 압력부족으로 전선이 빠졌다.
            2. 코드를 잡아 당겨보고, 굴곡 시험을 하여 접촉저항을 측정하여 판단하자.
            3. X-RAY로 도체 연결 방법을 판단하자.
  3. 전원코드 고정
    1. 옭매듭 overhand knot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Overhand_knot
      2. AC트랜스
    2. U자형 틈에 끼워서
      1. 220V 알람 디지탈 쿼츠시계
      2. 충전기, DeWALT 배터리팩 DCB127를 위한 DCB112 충전기에서
    3. 스팀청소기
    4. 다리미, 일렉트로룩스 Electrolux EDI130 에서
    5. 거칠기측정기, 조작스위치에서
  4. 전선 고정
    1. 카페 문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