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노트북용 직류전원장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IBM 노트북용 직류전원장치 <ol> <li> 전자부품 <ol> <li>산업용품 <ol> <li> SMPS <ol> <li> SMPS상자 <ol> <li> IBM 노트북용 직류전원장치 -...)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ol>
 
</ol>
 
</ol>
 
</ol>
<li>모델 #1 - 16V 3.5A, 칠성상회 기증품
+
<li>모델 #1 - 16V 3.5A, 한메소프트 http://www.hanmesoft.com/ 기증품
 
<ol>
 
<ol>
 
<li>파트번호(모델명): 02K6809, FRU P/N: 02K6815
 
<li>파트번호(모델명): 02K6809, FRU P/N: 02K6815
34번째 줄: 34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li>모델 #2 - 4.5A용, 칠성상회 기증품 2005년 04월 출시 [[노트북]], [[IBM T43]]에 사용
+
<li>모델 #2 - 4.5A용, 한메소프트 http://www.hanmesoft.com/ 기증품인 2005년 04월 출시 [[노트북]], [[IBM T43]]에 사용
 
<ol>
 
<ol>
 
<li>파트번호(모델명): 08K8204
 
<li>파트번호(모델명): 08K8204
42번째 줄: 42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li>모델 #3 - 파트번호(모델명): 08K8206, 16V/4.5A, FRU P/N: 93P5018, 한국레노버 판매, Delta Electronics 제조
+
<li>모델 #3 - 파트번호(모델명): 08K8206, 16V/4.5A, 240V/0.4A, FRU P/N: 93P5018, 한국레노버 판매, Delta Electronics 제조
 
<ol>
 
<ol>
<li>2022/09/16 한메소프트에서 고장났다고 기증함.
+
<li>2022/09/16 한메소프트 http://www.hanmesoft.com/ 에서 고장났다고 기증함.
 
<li>외형
 
<li>외형
 
<gallery>
 
<gallery>
55번째 줄: 55번째 줄:
 
image:notebook_power06_004.jpg
 
image:notebook_power06_004.jpg
 
image:notebook_power06_005.jpg | 구리판 두께 0.25mm
 
image:notebook_power06_005.jpg | 구리판 두께 0.25mm
image:notebook_power06_006.jpg | 납땜되는 리벳
+
image:notebook_power06_006.jpg | 방열 금속판은 [[접지]] 및 [[차폐]]를 해야하므로, 알루미늄에는 납땜이 안되므로, 납땜되는 재질의 [[리벳]]을 사용함.
 
</gallery>
 
</gallery>
 
<li>절연
 
<li>절연
 
<gallery>
 
<gallery>
 
image:notebook_power06_007.jpg
 
image:notebook_power06_007.jpg
image:notebook_power06_008.jpg
+
image:notebook_power06_008.jpg | 절연판은 단열에 방해되지만... 공기층을 통과하는 수직열전달보다는 수평 금속판 열전달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image:notebook_power06_009.jpg
 
image:notebook_power06_009.jpg
image:notebook_power06_010.jpg
+
image:notebook_power06_010.jpg | 절연판이 리드선에 찔리지 않게하기 위함인가? 아니면 열전달을 위해서인가?
 
</gallery>
 
</gallery>
 
<li>보드, 납땜면
 
<li>보드, 납땜면
73번째 줄: 73번째 줄:
 
image:notebook_power06_013.jpg | AC 커넥터가 흔들리므로 전선으로 연결
 
image:notebook_power06_013.jpg | AC 커넥터가 흔들리므로 전선으로 연결
 
</gallery>
 
</gallery>
<li>3.15A 250V MST 퓨즈 단선
+
<li> [[래디얼퓨즈]] 끊어짐. 3.15A 250V MST (제조회사 알 수 없음)
 
<gallery>
 
<gallery>
image:notebook_power06_016.jpg
+
image:notebook_power06_016.jpg | 유리섬유 다발에 전선을 감았다.
 
image:notebook_power06_017.jpg
 
image:notebook_power06_017.jpg
 
</gallery>
 
</gallery>
<li>DC 출력 전선을 PCB에서 뽑히지 않게
+
<li>DC 출력 [[전선납땜 고정방법]]
 
<gallery>
 
<gallery>
 
image:notebook_power06_014.jpg
 
image:notebook_power06_014.jpg
image:notebook_power06_015.jpg
+
image:notebook_power06_015.jpg | 상하 돌기 간격은 PCB 두께 1.2mm를 고려해야 한다.
 +
</gallery>
 +
<li>DC 출력 전선을 뽑으면서 PCB 쓰루홀 동박이 파괴되어, [[납땜용 중공 리벳]]을 추가하여 납땜단자를 수리함.
 +
<gallery>
 +
image:notebook_power06_018.jpg
 +
image:notebook_power06_019.jpg
 
</gallery>
 
</gallery>
 
<li>퓨즈 단자를 연결하니, 정상적인 전압이 검출됨.
 
<li>퓨즈 단자를 연결하니, 정상적인 전압이 검출됨.
 +
<li>최대 출력 DC 전압이 16V/4.5A이므로 5A까지 효율 측정
 +
<ol>
 +
<li>그래프,
 +
<gallery>
 +
image:notebook_power06_021.png | DC 출력전류 5A에서 전압강하없이 16.4V를 보이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
image:notebook_power06_022.png | 최대 AC 소비전력 약 94W, DC 소비전력 약 82W로 효율 87%. 즉, 12W가 열로 소비된다.
 +
</gallery>
 +
<li>최대 전력에서, 짧은 방치시간동안 발열 온도
 +
<gallery>
 +
image:notebook_power06_020.jpg | 최대 52도씨
 +
</gallery>
 +
</ol>
 
</ol>
 
</ol>
 
</ol>
 
</ol>

2022년 9월 19일 (월) 12:18 기준 최신판

IBM 노트북용 직류전원장치

  1. 전자부품
    1. 산업용품
      1. SMPS
        1. SMPS상자
          1. IBM 노트북용 직류전원장치 - 이 페이지
  2. 모델 #1 - 16V 3.5A, 한메소프트 http://www.hanmesoft.com/ 기증품
    1. 파트번호(모델명): 02K6809, FRU P/N: 02K6815
    2. 부하곡선
  3. 모델 #2 - 4.5A용, 한메소프트 http://www.hanmesoft.com/ 기증품인 2005년 04월 출시 노트북, IBM T43에 사용
    1. 파트번호(모델명): 08K8204
  4. 모델 #3 - 파트번호(모델명): 08K8206, 16V/4.5A, 240V/0.4A, FRU P/N: 93P5018, 한국레노버 판매, Delta Electronics 제조
    1. 2022/09/16 한메소프트 http://www.hanmesoft.com/ 에서 고장났다고 기증함.
    2. 외형
    3. 4면 금속판을 설치하여 방열
    4. 절연
    5. 보드, 납땜면
    6. 보드, 부품면
    7. 래디얼퓨즈 끊어짐. 3.15A 250V MST (제조회사 알 수 없음)
    8. DC 출력 전선납땜 고정방법
    9. DC 출력 전선을 뽑으면서 PCB 쓰루홀 동박이 파괴되어, 납땜용 중공 리벳을 추가하여 납땜단자를 수리함.
    10. 퓨즈 단자를 연결하니, 정상적인 전압이 검출됨.
    11. 최대 출력 DC 전압이 16V/4.5A이므로 5A까지 효율 측정
      1. 그래프,
      2. 최대 전력에서, 짧은 방치시간동안 발열 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