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스피커  
+
스피커
 
<ol>
 
<ol>
<li>리시버, Receiver
+
<li> [[전자부품]]
 
<ol>
 
<ol>
<li>전화기에서 사용되는 통화용 스피커를 리시버라고 한다.
+
<li>센서
 
<ol>
 
<ol>
<li>GoerTek 리시버. 2016/01/18
+
<li> [[스피커]] - 이 페이지
 
<ol>
 
<ol>
<li>사진
+
<li>종류
<gallery>
+
<ol>
image:receiver1_001.jpg
+
<li> [[리시버용 스피커]]
image:receiver1_002.jpg
+
<li> [[마이크로 스피커]]
image:receiver1_003.jpg | woofer
+
<li> [[노트북용 스피커]]
image:receiver1_004.jpg
+
<li> [[범용 스피커]]
image:receiver1_005.jpg
+
<li> [[AV용 스피커]]
image:receiver1_006.jpg
+
<ol>
image:receiver1_007.jpg
+
<li> [[블루투스 스피커]]
image:receiver1_008.jpg
+
<li> [[3.5mm 폰커넥터 휴대용 스피커]]
image:receiver1_009.jpg
+
</ol>
image:receiver1_010.jpg
+
<li> [[야외용 스피커]]
image:receiver1_011.jpg
+
<li> [[지향성 스피커]]
image:receiver1_012.jpg
 
image:receiver1_013.jpg
 
image:receiver1_014.jpg | woofer,tweeter 두 개이다.
 
image:receiver1_015.jpg
 
image:receiver1_016.jpg
 
image:receiver1_017.jpg
 
image:receiver1_018.jpg
 
image:receiver1_019.jpg
 
image:receiver1_020.jpg
 
</gallery>
 
<li>위 사진을 동영상으로 만듬
 
<ol>  
 
 
</ol>
 
</ol>
 +
<li>기술
 +
<ol>
 +
<li> [[스피커 백볼륨 변경 실험]]
 
</ol>
 
</ol>
<li>GT-B7722 2010년 7월 출시, BSE 회사의 마이크로 리시버 , http://www.bsecm.com/product/micro-receiver
 
<gallery>
 
image:gt_b7722_006.jpg
 
image:receiver02_001.jpg
 
image:receiver02_002.jpg
 
</gallery>
 
<li>GT-E2152 - 2010/09 출시, GSM, 128x160pixel, VGA카메라, 비디오 128x160@15fps
 
<gallery>
 
image:gt_e2152_010.jpg
 
image:gt_e2152_015.jpg | 스피커
 
image:gt_e2152_018.jpg
 
image:gt_e2152_019.jpg | 리시버
 
</gallery>
 
 
</ol>
 
</ol>
 +
<li> [[헤드폰]]
 +
<li> [[이어폰]]
 +
<li> [[무선 헤드셋,이어셋]]
 +
<li> [[버저]]
 
</ol>
 
</ol>
<li>스피커
+
<li>참고1
<ol>
 
<li>스마트폰용
 
 
<ol>
 
<ol>
<li>판촉용 샘플
+
<li> [[방음상자]], [[무향실]]
<ol>
+
<li> [[VCM]]
<li>GoerTek 스피커-1, 2016/01/18
+
<li> [[miniDSP UMIK-1]] 마이크로폰
<gallery>
 
image:speaker1_001.jpg
 
image:speaker1_002.jpg
 
image:speaker1_003.jpg
 
image:speaker1_004.jpg
 
</gallery>
 
<li>GoerTek 스피커-2, 2016/01/18
 
<gallery>
 
image:speaker1_005.jpg
 
image:speaker1_006.jpg
 
image:speaker1_007.jpg
 
image:speaker1_008.jpg
 
</gallery>
 
<li>Ammonite Precision, 2014/06/11
 
<gallery>
 
image:speaker1_009.jpg
 
image:speaker1_010.jpg
 
image:speaker1_011.jpg
 
image:speaker1_012.jpg
 
</gallery>
 
 
</ol>
 
</ol>
<li>Galaxy S9용
+
<li>참고2
 
<ol>
 
<ol>
<li>Rdc 및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li> [[오디오앰프IC]]
<gallery>
+
<li> [[오디오분석기]]
image:spk_sgn9_01_009.png | 흡음제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임피던스
 
</gallery>
 
<li>외관
 
<gallery>
 
image:spk_sgn9_01_001.jpg
 
image:spk_sgn9_01_002.jpg
 
image:spk_sgn9_01_003.jpg
 
image:spk_sgn9_01_004.jpg | 측정
 
</gallery>
 
<li>absorbent
 
<gallery>
 
image:spk_sgn9_01_006.jpg | 파랑 스티커 속에 speaker back volume absorbent
 
image:spk_sgn9_01_007.jpg
 
image:spk_sgn9_01_008.jpg | 쉽게 부서진다.
 
</gallery>
 
<li>침수 체크
 
<gallery>
 
image:spk_sgn9_01_005.jpg | x 스티커는 물에 닿았는지 검사용
 
</gallery>
 
<li>enclosure 박스 뜯음
 
<gallery>
 
image:spk_sgn9_02_001.jpg
 
image:spk_sgn9_02_002.jpg
 
</gallery>
 
<li>back volume vent hole
 
<gallery>
 
image:spk_sgn9_02_003.jpg
 
image:spk_sgn9_02_004.jpg
 
image:spk_sgn9_02_005.jpg
 
</gallery>
 
<li>back volume
 
<gallery>
 
image:spk_sgn9_02_006.jpg
 
</gallery>
 
<li>sound hole
 
<gallery>
 
image:spk_sgn9_02_007.jpg
 
image:spk_sgn9_02_008.jpg
 
</gallery>
 
<li>dynamic module
 
<gallery>
 
image:spk_sgn9_02_009.jpg
 
image:spk_sgn9_02_010.jpg
 
image:spk_sgn9_02_011.jpg
 
image:spk_sgn9_02_012.jpg
 
image:spk_sgn9_02_013.jpg
 
image:spk_sgn9_02_014.jpg
 
</gallery>
 
<li>진동판 (철판 + 잘 늘어나는 비닐? 재질)
 
<gallery>
 
image:spk_sgn9_02_015.jpg
 
image:spk_sgn9_02_016.jpg
 
</gallery>
 
 
</ol>
 
</ol>
 
</ol>
 
</ol>
<li>Smart Watch, U80
+
<li>기술
 
<ol>
 
<ol>
<li>시계
+
<li>상식
<gallery>
+
<ol>
image:u80_001.jpg
+
<li>영구자석을 대신하는 field coil, 움직이는 voice coil, 보청기에서는 telecoil (field coil이 방출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image:u80_004.jpg | 스피커 분해함
 
</gallery>
 
<li>스피커 - 위  Ammonite Precision 제품과 매우 유사
 
<gallery>
 
image:u_speaker01_001.jpg
 
image:u_speaker01_002.jpg
 
image:u_speaker01_003.jpg
 
image:u_speaker01_004.jpg
 
image:u_speaker01_005.jpg
 
image:u_speaker01_006.jpg
 
</gallery>
 
 
</ol>
 
</ol>
<li>노트북에서
+
<li>링크
 +
<ol>
 +
<li> http://education.lenardaudio.com/en/
 +
<li>스피커 평가시스템을 판매하는
 +
<li>위키페디아
 +
<ol>
 +
<li> https://en.wikipedia.org/wiki/Loudspeaker
 +
<ol>
 +
<li> https://en.wikipedia.org/wiki/Loudspeaker_enclosure
 
<ol>
 
<ol>
<li>Fujitsu Notebook E8410에서(2007년산 추측)
+
<li> https://en.wikipedia.org/wiki/Bass_reflex
<gallery>
 
image:fujitsue8410_037.jpg
 
image:fujitsue8410_037_001.jpg
 
</gallery>
 
 
</ol>
 
</ol>
<li>전화기 핸드셋(Handset) 스피커
 
<ol>
 
<li>대우 fax에서, 대우통신 FA110, 1999년 제조? - 입력 전압에 거의 무관하게 소리가 평탄하게 들린다.
 
<gallery>
 
image:telephone_hanset01_001.jpg
 
image:telephone_hanset01_002.jpg
 
image:telephone_hanset01_003.jpg | 유니슨음향
 
image:telephone_hanset01_004.jpg
 
image:telephone_hanset01_005.jpg
 
image:telephone_hanset01_006.jpg
 
</gallery>
 
 
</ol>
 
</ol>
<li>계측기에서
+
<li>종류
 
<ol>
 
<ol>
<li>Agilent E4401B 스펙트럼분석기
+
<li> https://en.wikipedia.org/wiki/Woofer
<gallery>
+
<li> https://en.wikipedia.org/wiki/Subwoofer
image:e4401b04_002.jpg
+
<li> https://en.wikipedia.org/wiki/Mid-range_speaker
</gallery>
+
<li> https://en.wikipedia.org/wiki/Tweeter
 +
<li> https://en.wikipedia.org/wiki/Full-range_speaker
 
</ol>
 
</ol>
 
</ol>
 
</ol>
<li>헤드폰
 
<ol>
 
<li>BOSE QuietComfort 15(QC 15)
 
<gallery>
 
image:bose_qc15_001.jpg
 
</gallery>
 
<li>대한한공, 잡음제거용, A380 비즈니스 좌석용, 건전지 없이 사용 대신 플러그가 2개(하나가 전원용?)
 
<gallery>
 
image:kal01_001.jpg
 
</gallery>
 
 
</ol>
 
</ol>
<li>이어폰
+
<li>무향실; anechoic chamber
 +
<li>음압
 
<ol>
 
<ol>
<li>정리
+
<li>사운드 레벨 Lp
 
<ol>
 
<ol>
<li>2013/06/08, 집안 정리중 - 모두 버림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Sound_pressure#Sound_pressure_level
<gallery>
+
<li>P0: 기준음압으로 20uPa
image:earphone04_001.jpg
+
<li>Lp=10 LOG10 (P^2/P0^2) [dB] = 20 LOG10 (P/P0)
</gallery>
 
 
</ol>
 
</ol>
<li>한쪽 소리가 나오지 않아(상표 모름. 잘 들림)
+
<li>용어
<gallery>
 
image:earphone05_001.jpg
 
image:earphone05_002.jpg
 
image:earphone05_003.jpg
 
image:earphone05_004.jpg
 
image:earphone05_005.jpg | 풀칠된 상태에서 몰딩
 
image:earphone05_006.jpg
 
image:earphone05_007.jpg
 
image:earphone05_008.jpg | 풀칠 수축으로 끊어진듯
 
</gallery>
 
<li>BOSE
 
<gallery>
 
image:earphone01_001.jpg
 
</gallery>
 
<li>핸드폰 핸즈프리 겸용 모델명: EHS64
 
 
<ol>
 
<ol>
<li>갤럭시 그랜드 맥스 구입시 - 거의 사용하지 않음
+
<li>LWAd: statistical upper-limit A-weighted sound-power level, 0.1dB 단위로 표시한다.
<gallery>
+
<li>LpAm: mean A-weighted emission sound-pressure level 로 1m 떨어진 곳에서 측정한다. 반올림 dB로 표시한다.
image:earphone02_001.jpg
+
<li>PNR: Product noise rating
image:earphone02_002.jpg
 
</gallery>
 
<li>갤럭시 노트 3용(?) 오래 사용 - 양면접착제가 녹아 망이 쉽게 떨어짐
 
<gallery>
 
image:earphone03_001.jpg
 
image:earphone03_002.jpg
 
image:earphone03_003.jpg
 
</gallery>
 
 
</ol>
 
</ol>
 
</ol>
 
</ol>
<li>헤드셋
+
<li>전기적 특성
 
<ol>
 
<ol>
<li>LG Bluetooth Headset HBS-900, 2016/04/11 김희재 소유, 줄이 들어가지 않아 A/S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al_characteristics_of_dynamic_loudspeakers
<gallery>
+
<ol>
image:headset1_001.jpg
+
<li>free-space resonance, Fs 주파수에서 보이스코일은 최대진폭을 갖는다. 즉, 최대속도로 움직인다. 이 때 back-emf도 최대로 발생된다.
image:headset1_002.jpg
+
<li>Fs에서 최대 임피던스(Zmax)를 보인다.
image:headset1_003.jpg
+
<li>Fs보다 낮은 근처에서는 인덕터 성질을 가져 임피던스가 빠르게 증가한다.
image:headset1_004.jpg
+
<li>공진에서는 순수한 저항성분이 되고, 공진을 통과하자마자 임피던스를 낮아지면서 캐퍼시터 성질을 갖는다.
image:headset1_005.jpg
+
<li>이후 임피던스가 가장 낮아지는 지점인 Zmin 부근은 다시 저항성분을 갖는다.(꼭 그렇지는 않지만)
image:headset1_006.jpg
+
<li>이런 Zmin 값에서 스피커의 공칭저항(nominal impedance Znom)을 정의한다.
image:headset1_007.jpg
+
</ol>
image:headset1_008.jpg
 
image:headset1_009.jpg
 
</gallery>
 
<li>LG Tone+ HBS-500, SKC 정용호씨가 골프공(6개)와 같이 보내준 선물, 당시 약 4만원
 
<gallery>
 
image:headset02_001.jpg
 
</gallery>
 
<li>파트론, Croise.R, 2016/07/21 대덕전자 선물
 
<gallery>
 
image:headset03_001.jpg
 
</gallery>
 
 
</ol>
 
</ol>
<li>음향 스피커
+
<li>enclosure 조사
<ol>
 
<li>PH-PR900(H), 산요 카세트레코더에서
 
<ol>
 
<li>외관, full range 스피커 두 개
 
<gallery>
 
image:hifi02_001.jpg
 
</gallery>
 
<li>오른쪽에 우퍼
 
<gallery>
 
image:hifi02_024.jpg
 
image:hifi02_025.jpg
 
</gallery>
 
 
</ol>
 
</ol>
<li>LG전자, FE-DV550V 150W 스피커
+
<li>측정 장치
 
<ol>
 
<ol>
<li>17/02/07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li>손으로 다이얼을 돌려 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귀로 듣기 위해서
<li>전체
 
<gallery>
 
image:lg_spk01_001.jpg
 
image:lg_spk01_001_001.png | 스피커 시스템 전체 임피던스 특성(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를 평탄하게 나오게 하고 있다.)
 
image:lg_spk01_002.jpg
 
image:lg_spk01_003.jpg
 
image:lg_spk01_004.jpg
 
</gallery>
 
<li>midrange+tweeter 스피커쪽에는 무극성 전해C가 직렬로 달려 있다.
 
<gallery>
 
image:lg_spk01_007.jpg | bi-polar(non-polar;무극성) electrolytic capacitor
 
image:lg_spk01_007_001.png | C 및 스피커에 부착했을 때 임피던스 특성 (낮은 주파수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는다.)
 
</gallery>
 
<li>woofer
 
 
<ol>
 
<ol>
<li>전체
+
<li> [[GAG-808G]] Audio Generator
<gallery>
 
image:lg_spk01_005.jpg
 
image:lg_spk01_005_001.png | 임피던스
 
image:lg_spk01_005_002.png | 진동판을 힘을 가해 누르면(공진이 억제된다.)
 
image:lg_spk01_006.jpg
 
image:lg_spk01_009.jpg
 
</gallery>
 
<li>woofer에서 suspension을 찢어 없앤 상태
 
<gallery>
 
image:lg_spk01_008.jpg | surround suspension은 스피커 취급을 잘못하면 쉽게 찢어진다.
 
image:lg_spk01_014.jpg | suspension 없고 있고에 따른 임피던스 측정
 
image:lg_spk01_014_001.png
 
image:lg_spk01_015.jpg
 
</gallery>
 
 
</ol>
 
</ol>
<li>midrange
 
<gallery>
 
image:lg_spk01_012.jpg
 
image:lg_spk01_013.jpg
 
image:lg_spk01_013_001.png
 
</gallery>
 
<li>tweeter
 
<gallery>
 
image:lg_spk01_010.jpg
 
image:lg_spk01_010_001.png | 임피던스 특성
 
image:lg_spk01_010_002.png | 트위터와 미드레인지 합쳤을 때
 
image:lg_spk01_011.jpg
 
</gallery>
 
 
</ol>
 
</ol>
<li>휴대용
+
<li>스피커 고정
 
<ol>
 
<ol>
<li>LIFETRONS X-mini
+
<li> [[1.7GHz DECT 맥슨 MDC-2670S]] 무선전화기에서
<gallery>
 
image:speaker_xmini_001.jpg
 
image:speaker_xmini_002.jpg
 
image:speaker_xmini_003.jpg | 충전과 방전을 위한 FET 스위치
 
image:speaker_xmini_004.jpg
 
</gallery>
 
<li>삼성 SP100, 2009년 제조, 1.5V AAA 3개 사용, 2017년 기준으로 음질,음량 안좋다. 전지사용으로 스위치 끄지 않으면 그냥 방전된다.
 
<gallery>
 
image:spk_sp100_001.jpg
 
image:spk_sp100_002.jpg
 
image:spk_sp100_003.jpg
 
image:spk_sp100_004.jpg
 
image:spk_sp100_005.jpg
 
</gallery>
 
<li>블루투스 스피커, 15/02/03, 인지에 가서 유재일대표에게 받은 선물
 
 
<gallery>
 
<gallery>
image:speaker02_001.jpg
+
image:mdc_2670s_004.jpg | (흔들리는) 알람용 [[스피커]] 고정방법. LYS(R) SP558 16Ω 0.3W
image:speaker02_002.jpg
 
 
</gallery>
 
</gallery>
 
</ol>
 
</ol>
<li>PC 외장형 스피커
+
<li> [[스피커 백볼륨 변경 실험]]
 +
<li>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경 15mm 32오옴 스피커 유닛 10개 구입
 
<ol>
 
<ol>
<li>QNIX 큐닉스 QS-330U, 2106/08/26 희재연재 서울집 철수 때
+
<li>구입품
 
<gallery>
 
<gallery>
image:pc_speaker1_001.jpg | 3700원짜리
+
image:speaker04_001.jpg | 2개가 추가된 12개가 입고됨, 측정을 위해서 리드선을 납땜함.(+- 뒤바뀜)
image:pc_speaker1_002.jpg | 스피커가 서로 다르고, 접착 떨어짐
 
image:pc_speaker1_003.jpg | Mono Amp.
 
 
</gallery>
 
</gallery>
<li>A/V 기기 연결 박스형
+
<li>5개 임피던스 측정 , 공진대역이 넓기 때문에 full range 스피커인 듯
<ol>
 
<li>17/02/13 스피커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gallery>
 
<gallery>
image:pc_speaker02_005.png
+
image:speaker04_006.png | 5번 샘플(두 번 측정)이 특히 문제
 
</gallery>
 
</gallery>
<li>분해 사진
+
<li>5번 샘플 분해해보니
 
<gallery>
 
<gallery>
image:pc_speaker02_001.jpg
+
image:speaker04_002.jpg
image:pc_speaker02_002.jpg
+
image:speaker04_003.jpg
image:pc_speaker02_003.jpg
+
image:speaker04_004.jpg
image:pc_speaker02_004.jpg
+
image:speaker04_005.jpg | 코일이 자석과 붙어 있다.
 
</gallery>
 
</gallery>
 
</ol>
 
</ol>
</ol>
+
<li>분류하지 못하고 있는
<li>앰프 내장형
 
 
<ol>
 
<ol>
<li>PC스피커, Britz(브리츠) BR-1100 V2, 2.1채널 스피커에서 우퍼 회로고장
+
<li>2006.02 출시, 팬택, SKY 주크박스 [[IM-U110]] 피처폰
 
<ol>
 
<ol>
<li>임피던스/THD 측정 데이터
+
<li> [[마이크로 스피커]]이어야 하는데, 백볼륨이 없어서. 구조는 [[헤드폰]]이다.
<li>전체
 
<gallery>
 
image:pc_speaker03_001.jpg
 
image:pc_speaker03_002.jpg
 
image:pc_speaker03_003.jpg
 
image:pc_speaker03_004.jpg
 
image:pc_speaker03_005.jpg | 상자 풀로 붙임
 
</gallery>
 
<li>스피커
 
 
<gallery>
 
<gallery>
image:pc_speaker03_006.jpg
+
image:im_u110_024.jpg
image:pc_speaker03_021.png | 스피커 임피던스
 
</gallery>
 
<li>내부 앰프 회로
 
<gallery>
 
image:pc_speaker03_007.jpg
 
image:pc_speaker03_008.jpg
 
image:pc_speaker03_009.jpg | 시간지연형 퓨즈 0.2A
 
image:pc_speaker03_010.jpg | 9V 트랜스
 
image:pc_speaker03_011.jpg | 앰프 앞면
 
image:pc_speaker03_012.jpg | 앰프 뒷면
 
image:pc_speaker03_013.jpg | (볼륨, 입력단자, 이어폰단자 선) 슬리브L
 
image:pc_speaker03_014.jpg | 3.5mm headphone socket
 
image:pc_speaker03_015.jpg | 3.5mm mini-phone connector
 
</gallery>
 
<li>이득 및 THD 측정
 
<gallery>
 
image:pc_speaker03_020.jpg | 신호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로
 
image:pc_speaker03_022.png | 볼륨에 따른 이득
 
image:pc_speaker03_023.png | 입력전압에 따른 이득 및 THD
 
image:pc_speaker03_024.png | 1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이득
 
image:pc_speaker03_025.png | 1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THD
 
image:pc_speaker03_026.png | 2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이득
 
image:pc_speaker03_027.png | 2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THD
 
</gallery>
 
<li>오실로스코프로 본 증폭 그래프 및 FFT 그래프
 
<gallery>
 
image:pc_speaker03_017.png | 입력전압이 0.25V로 낮을 때.
 
image:pc_speaker03_019.png | 입력전압이 0.8V로 높을 때. THD가 매우 커진다.
 
image:pc_speaker03_016.png | 1kHz 신호에 대해, 낮은값 THD일 때 FFT 그래프
 
image:pc_speaker03_018.png | 1kHz 신호에 대해, 높은값 THD일 때 FFT 그래프
 
</gallery>
 
</ol>
 
<li>앰프 내장형 PC스피커, Britz(브리츠) BR-3900 M4, 2.1채널 스피커에서,
 
<ol>
 
<li>THD 측정 데이터 - Britz(브리츠) BR-1100 앰프보다 월등히 좋다.
 
<gallery>
 
image:pc_speaker04_003.png | 1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이득
 
image:pc_speaker04_004.png | 1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THD
 
image:pc_speaker04_005.png | 2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이득
 
image:pc_speaker04_006.png | 2채널, 입력전압에 따른 주파수별 THD
 
</gallery>
 
<li>사진
 
<gallery>
 
image:pc_speaker04_002.jpg | 14/04/10 촬영 최재형으로부터.
 
image:pc_speaker04_001.jpg | 17/02/17
 
 
</gallery>
 
</gallery>
 
</ol>
 
</ol>
 
</ol>
 
</ol>
<li>PC 내장형 스피커
+
<li>  
<ol>
 
<li>IBM 서버, 칠성상회 기증품에서
 
 
<ol>
 
<ol>
<li>17/02/13 임피던스 측정 데이터
+
<li>스피커 백볼륨 관찰, 학습기기이므로 좋은 음향이 나오도록 만든 듯.
 
<gallery>
 
<gallery>
image:spk_wieson_009.png
+
image:if_s1100_012.jpg
 
</gallery>
 
</gallery>
<li>분해사진
+
<li>speaker enclosure 중에서 "passive radiator"(drone cone; 무게가 중요하다.)를 사용했다. (대부분 vent 구멍은 만들지 않는다.)
 
<gallery>
 
<gallery>
image:spk_wieson_001.jpg
+
image:if_s1100_013.jpg | 밀폐되어 있다.
image:spk_wieson_002.jpg
+
image:if_s1100_014.jpg | 앞면 가운데에 사각형 front mounted passive radiator를 설치했다.
image:spk_wieson_003.jpg
 
image:spk_wieson_004.jpg
 
image:spk_wieson_005.jpg
 
image:spk_wieson_006.jpg
 
image:spk_wieson_007.jpg
 
image:spk_wieson_008.jpg
 
 
</gallery>
 
</gallery>
</ol>
+
<li>백볼륨을 없애면
</ol>
 
<li>블루투스 스피커
 
<ol>
 
<li>JBL, Charge2+, 방수 2018/10 현재 인터넷 최저가 200,000원
 
 
<gallery>
 
<gallery>
image:bluetooth_spk01_001.jpg
+
image:if_s1100_015.jpg
 
</gallery>
 
</gallery>
<li>Bose, SoundLink Revolve Plus
+
<li>스피커 임피던스 측정
 
<gallery>
 
<gallery>
image:bluetooth_spk02_001.jpg | 옥션 416,130원 주문서 -> 선물
+
image:if_s1100_015_001.png
 
</gallery>
 
</gallery>
</ol>
 
 
</ol>
 
</ol>
 
</ol>
 
</ol>

2024년 1월 7일 (일) 19:24 기준 최신판

스피커

  1. 전자부품
    1. 센서
      1. 스피커 - 이 페이지
        1. 종류
          1. 리시버용 스피커
          2. 마이크로 스피커
          3. 노트북용 스피커
          4. 범용 스피커
          5. AV용 스피커
            1. 블루투스 스피커
            2. 3.5mm 폰커넥터 휴대용 스피커
          6. 야외용 스피커
          7. 지향성 스피커
        2. 기술
          1. 스피커 백볼륨 변경 실험
      2. 헤드폰
      3. 이어폰
      4. 무선 헤드셋,이어셋
      5. 버저
    2. 참고1
      1. 방음상자, 무향실
      2. VCM
      3. miniDSP UMIK-1 마이크로폰
    3. 참고2
      1. 오디오앰프IC
      2. 오디오분석기
  2. 기술
    1. 상식
      1. 영구자석을 대신하는 field coil, 움직이는 voice coil, 보청기에서는 telecoil (field coil이 방출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2. 링크
      1. http://education.lenardaudio.com/en/
      2. 스피커 평가시스템을 판매하는
      3. 위키페디아
        1. https://en.wikipedia.org/wiki/Loudspeaker
          1. https://en.wikipedia.org/wiki/Loudspeaker_enclosure
            1. https://en.wikipedia.org/wiki/Bass_reflex
        2. 종류
          1. https://en.wikipedia.org/wiki/Woofer
          2. https://en.wikipedia.org/wiki/Subwoofer
          3. https://en.wikipedia.org/wiki/Mid-range_speaker
          4. https://en.wikipedia.org/wiki/Tweeter
          5. https://en.wikipedia.org/wiki/Full-range_speaker
    3. 무향실; anechoic chamber
    4. 음압
      1. 사운드 레벨 Lp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Sound_pressure#Sound_pressure_level
        2. P0: 기준음압으로 20uPa
        3. Lp=10 LOG10 (P^2/P0^2) [dB] = 20 LOG10 (P/P0)
      2. 용어
        1. LWAd: statistical upper-limit A-weighted sound-power level, 0.1dB 단위로 표시한다.
        2. LpAm: mean A-weighted emission sound-pressure level 로 1m 떨어진 곳에서 측정한다. 반올림 dB로 표시한다.
        3. PNR: Product noise rating
    5. 전기적 특성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al_characteristics_of_dynamic_loudspeakers
        1. free-space resonance, Fs 주파수에서 보이스코일은 최대진폭을 갖는다. 즉, 최대속도로 움직인다. 이 때 back-emf도 최대로 발생된다.
        2. Fs에서 최대 임피던스(Zmax)를 보인다.
        3. Fs보다 낮은 근처에서는 인덕터 성질을 가져 임피던스가 빠르게 증가한다.
        4. 공진에서는 순수한 저항성분이 되고, 공진을 통과하자마자 임피던스를 낮아지면서 캐퍼시터 성질을 갖는다.
        5. 이후 임피던스가 가장 낮아지는 지점인 Zmin 부근은 다시 저항성분을 갖는다.(꼭 그렇지는 않지만)
        6. 이런 Zmin 값에서 스피커의 공칭저항(nominal impedance Znom)을 정의한다.
    6. enclosure 조사
  3. 측정 장치
    1. 손으로 다이얼을 돌려 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귀로 듣기 위해서
      1. GAG-808G Audio Generator
  4. 스피커 고정
    1. 1.7GHz DECT 맥슨 MDC-2670S 무선전화기에서
  5. 스피커 백볼륨 변경 실험
  6.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직경 15mm 32오옴 스피커 유닛 10개 구입
    1. 구입품
    2. 5개 임피던스 측정 , 공진대역이 넓기 때문에 full range 스피커인 듯
    3. 5번 샘플 분해해보니
  7. 분류하지 못하고 있는
    1. 2006.02 출시, 팬택, SKY 주크박스 IM-U110 피처폰
      1. 마이크로 스피커이어야 하는데, 백볼륨이 없어서. 구조는 헤드폰이다.
    1. 스피커 백볼륨 관찰, 학습기기이므로 좋은 음향이 나오도록 만든 듯.
    2. speaker enclosure 중에서 "passive radiator"(drone cone; 무게가 중요하다.)를 사용했다. (대부분 vent 구멍은 만들지 않는다.)
    3. 백볼륨을 없애면
    4. 스피커 임피던스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