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형광등, 전자식 안정기(Electrical ballast) <ol> <li>Fluorescent lamp <ol> <li>T12 - 12/8 inch <li>T8 - 8/8 inch <li>T5 - 5/8 inch <ol> <li>8W 백라이트 - 슬라이드 필...)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형광등, 전자식 안정기(Electrical ballast)
+
형광등
 
<ol>
 
<ol>
<li>Fluorescent lamp
+
<li> [[전자부품]]
 
<ol>
 
<ol>
<li>T12 - 12/8 inch
+
<li> [[조명]]
<li>T8 - 8/8 inch
 
<li>T5 - 5/8 inch
 
 
<ol>
 
<ol>
<li>8W 백라이트 - 슬라이드 필름 관찰용, PRO BRIGHT, 모델 SY-6000(11x14", 6만원?), 제조:samyang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 402-3호
+
<li> [[형광등]] - 이 페이지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04_001.jpg
 
image:electrical_ballast04_002.jpg|슬라이드 필름 보기용
 
image:electrical_ballast04_003.jpg
 
image:electrical_ballast04_004.jpg
 
image:electrical_ballast04_005.jpg
 
image:electrical_ballast04_006.jpg
 
image:electrical_ballast04_007.jpg
 
image:electrical_ballast04_008.jpg
 
</gallery>
 
</ol>
 
</ol>
 
<li>Compact fluorescent lamp(CFL),
 
 
<ol>
 
<ol>
<li>integrated lamps = tube + ballast
+
<li>가정용
 
<ol>
 
<ol>
<li>E27
+
<li> [[직관형 형광등]]
<ol>
+
<li> [[콤팩트 형광등]]
<li>Twister shape
+
</ol>
 +
<li>산업용 등
 
<ol>
 
<ol>
<li>Philips Tonado 24W 6500K(cool daylight) 1450lumen 66.8lm/W
+
<li> [[UV 형광등]]
<gallery>
+
<li> [[CCFL]]
image:led_lamp03_002.jpg
 
</gallery>
 
<li>Philips Tonado 24W 전구색 2017/09/25 하나 켜지지 않아.
 
<gallery>
 
image:fluorescent_int01_001.jpg
 
image:fluorescent_int01_002.jpg
 
image:fluorescent_int01_003.jpg
 
image:fluorescent_int01_004.jpg|램프관은 OK. 회로가 고장
 
</gallery>
 
 
</ol>
 
</ol>
<li>Stick shape
+
<li> [[인버터 형광등스탠드 ]]
<ol>
 
<li>우리조명, 20EX-L 형광등 전자식 안정기에서 16/09/11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03_001.jpg
 
image:electrical_ballast03_002.jpg
 
image:electrical_ballast03_003.jpg|방열구멍
 
image:electrical_ballast03_004.jpg
 
image:electrical_ballast03_005.jpg|26개? 부품
 
image:electrical_ballast03_006.jpg|PTC
 
image:electrical_ballast03_007.jpg|Diac, E13003 High Voltage Switch Mode Applications
 
image:electrical_ballast03_008.jpg|1N4937S Fast Recovery Rectifier
 
image:electrical_ballast03_009.jpg|코일
 
image:electrical_ballast03_010.jpg|전해 105도 350V 10u
 
</gallery>
 
 
</ol>
 
</ol>
 +
<li> [[고압트랜스]]
 
</ol>
 
</ol>
 
</ol>
 
</ol>
<li>non-integrated lamps (계속 사용할 수 있는 ballast가 등기구에 부착된 것)
+
<li>기술정보
 
<ol>
 
<ol>
<li>G24q-3 base
+
<li>형광등에서 수은을 사용한다. 유사파장을 갖는 수은 대체 물질은 XeCl 이 있는데 발광효율이 현저히 낮다.
 
<ol>
 
<ol>
<li>socket
+
<li>50~70torr의 네온,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고 수mg의 수은을 넣는다.
<gallery>
+
<li>유리관 양단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기장에 의해 전자가 가속되어 수은을 여기시킨다. 이 때 185nm 253.7nm 자외선이 나오고, 유리벽에 발라진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선으로 바뀐다.
image:fluorescent_nonint01_001.jpg
+
<li>60torr에서 수은은 242도씨에서 완전 증발한다. 통상 점등시 관벽온도는 100도씨이므로 미량의 수은만이 기화하고 이동한다.
image:fluorescent_nonint01_003.jpg
+
<li>램프 길이가 길수록 전압을 높여야한다.
image:fluorescent_nonint01_004.jpg
 
</gallery>
 
<li>lamp
 
<gallery>
 
image:fluorescent_nonint01_002.jpg
 
image:fluorescent_nonint01_005.jpg
 
image:fluorescent_nonint01_006.jpg
 
image:fluorescent_nonint01_007.jpg
 
image:fluorescent_nonint01_008.jpg|예열. 켜지지 않아 한 쪽은 예열만 너무 오래해서 끊어진 듯
 
image:fluorescent_nonint01_009.jpg|핀 고정방법
 
</gallery>
 
 
</ol>
 
</ol>
<li>2G11 base
+
<li>위키페디아
<ol>
 
<li>망포동 그대가프리미어 아파트, FPL36용 조명
 
<ol>
 
<li>17/07/17 망포동 그대가프리미어 김명기 방에서
 
 
<ol>
 
<ol>
<li>형광등 3개 사용. 가운데 하나(#3)는 동작하지 않음.
+
<li>형광등 https://en.wikipedia.org/wiki/Fluorescent_lamp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01.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00.jpg|태원전기산업
 
image:electrical_ballast1_002.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03.jpg|해당 모델
 
</gallery>
 
<li>#1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04.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05.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06.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07.jpg|#1
 
</gallery>
 
<li>#2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08.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09.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10.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11.jpg|#2
 
</gallery>
 
<li>동작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12.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13.jpg|전해바꾸고 동작안하고 FET 뜨거워져 FET도 교환
 
</gallery>
 
<li>#3 (18/05/22 분해)
 
 
<ol>
 
<ol>
<li>사진
+
<li>CCLF https://en.wikipedia.org/wiki/Fluorescent_lamp#Cold-cathode_fluorescent_lamps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16.jpg|삼영 전해C
 
image:electrical_ballast1_017.jpg|안정기 뚜껑에 오염
 
image:electrical_ballast1_018.jpg|부풀어 올라
 
image:electrical_ballast1_019.jpg|왼쪽 납땜이 녹은 흔적
 
image:electrical_ballast1_020.jpg|FET(AUK STK830) 뜨거워진듯
 
image:electrical_ballast1_023.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22.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21.jpg|고장난 전해C
 
</gallery>
 
<li>N-channel MOSFET - STK830P (Kodenshi) -> IRF830으로 호환(?)
 
 
<ol>
 
<ol>
<li>제조사: AUK semiconductor
+
<li>냉음극 시동방식.
<li>500V 2.7A(100'C) 4.5A(25) 1.5ohm
 
</ol>
 
<li>C 측정 - 1kHz, 20mV, Cs-Rs
 
 
<ol>
 
<ol>
<li>불량품: 3.2nF 31k
+
<li>반대가 열음극 형광램프(음극을 500도씨로 가열해야 하므로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한다.)
<li>옆제품: 2.3uF 370
+
<li>가열해야 하므로 켜지는 속도가 늦다.
<li>비교품: 20uF 2.6  (400V 22uF 105'C)
+
<li>가열 필라멘트 금속이 가늘어 쉽게 끊어져 수명이 짧다.
 
</ol>
 
</ol>
 +
<li>유리관을 가늘게 할 수 있다. 효율은 열음극에 비해 낮다. 그러나 hollow cathode 효과로 고휘도를 보인다.
 +
<li>봉입가스 압력이 낮을수록 광특성 및 효율이 좋아지지만 수명은 낮아진다. 50~80torr에서 3만시간 이상 수명을 보인다.
 +
<li>전자가 전극에 부딪히면 스퍼링에 의해 구멍이 뚫릴수도 있고 비산물질과 수은이 화학반응하여 아말감을 형성하여 유효수은이 줄어든다.
 +
<li>전극면적이 널어야 하므로 hollow 형태의 cup(금속 골무형태)으로 전극을 만든다.
 +
<li>전자충돌로 전극도 국부적으로 가열되므로 빨갛게 보인다.
 
</ol>
 
</ol>
<li>위 제품 하나 수리 + 동작 안한 것 점검하니 EC, FET 이미 교환한 것(아마 램프에 문제?)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24.jpg
 
</gallery>
 
 
</ol>
 
</ol>
<li>18/05/21 김명기 방, 교체. 9000원 옥션에서 두 개 구입
+
<li>냉음극 https://en.wikipedia.org/wiki/Cold_cathode
 
<ol>
 
<ol>
<li>구입품
+
<li>전류 제한이 필요하므로 복잡한 고전압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다.
<gallery>
+
<li>초기 아크를 생성하려면 매우 높은 전압이 필요하지만, 튜브가 가열되면 저항이 크게 떨어지므로, 전류를 낮추거나 공급전압을 낮추어야 한다.
image:electrical_ballast05_001.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02.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03.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04.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05.jpg|JCS730FC N-channel MOSFET 400V 5.5A/3.5A(25/100'C) 1.0ohm
 
image:electrical_ballast05_006.jpg
 
</gallery>
 
<li>종래 고장품과 비교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04.jpg|종래
 
image:electrical_ballast05_003.jpg|구입품
 
</gallery>
 
<li>형광등 소켓 분리 문제 때문에 회사에서 점검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05_007.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08.jpg|고장품과 이번 구입품
 
</gallery>
 
<li>형광등 소켓에서 전선을 쉽게 뺄 수 없음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05_009.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11.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10.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14.jpg
 
image:electrical_ballast05_012.jpg|작은 홈 속으로 밀대를 힘차게 밀고 전선을 잡아 빼야 한다.
 
image:electrical_ballast05_013.jpg|이런 구조는 레버를 누르면 쉽게 뺄 수 있다.
 
</gallery>
 
 
</ol>
 
</ol>
<li>17/07/26 망포동 그대가프리미어 김연재 방에서 2개 고장/3개중
+
<li>CCFL 인버터 https://en.wikipedia.org/wiki/CCFL_inverter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1_014.jpg
 
image:electrical_ballast1_015.jpg
 
</gallery>
 
</ol>
 
<li>솔라세라믹에서
 
<gallery>
 
image:electrical_ballast2_001.jpg
 
image:electrical_ballast2_002.jpg
 
image:electrical_ballast2_003.jpg
 
image:electrical_ballast2_004.jpg|전해C에 구멍난 상태로 제조
 
</gallery>
 
</ol>
 
</ol>
 
</ol>
 
<li>스캐너용 형광등 전원
 
<ol>
 
<li>HP ScanJet 3300C
 
<gallery>
 
image:scanner01_013.jpg
 
image:scanner01_014.jpg
 
image:scanner01_015.jpg
 
</gallery>
 
</ol>
 
<li>LCD BLU용 형광등 전원
 
<ol>
 
<li>삼성 CX701N 17인치 LCD + CCFL 모니터
 
<gallery>
 
image:cx701n_030.jpg
 
image:cx701n_031.jpg
 
image:cx701n_032.jpg|1:100 probe
 
image:cx701n_032_1.jpg|670Vp-p 52kHz
 
</gallery>
 
<li>삼성전자 LN32N71BD, 32"TV,  2006년 제조
 
<gallery>
 
image:lcdtv01_01_001.jpg
 
image:lcdtv01_01_002.jpg
 
image:lcdtv01_01_003.jpg|가장 중요한 제어IC
 
image:lcdtv01_01_004.jpg|FET 방열
 
image:lcdtv01_01_005.jpg
 
image:lcdtv01_01_006.jpg|피드백용 C
 
</gallery>
 
<li>Fujitsu Notebook E8410에서(2007년산 추측)
 
 
<ol>
 
<ol>
<li>전체
+
<li>resonance type circuit(공진형 회로)를 이용한다.
<gallery>
 
image:fujitsue8410_083.jpg
 
image:fujitsue8410_085.jpg
 
image:fujitsue8410_086.jpg
 
</gallery>
 
<li>부분
 
<gallery>
 
image:ccfl_inverter01_001.jpg
 
image:ccfl_inverter01_002.jpg
 
image:ccfl_inverter01_003.jpg
 
image:ccfl_inverter01_004.jpg
 
image:ccfl_inverter01_005.jpg
 
image:ccfl_inverter01_006.jpg
 
참조할 것
 
 
</ol>
 
</ol>
 +
<li>콤팩트 형광등 Compact fluorescent lamp https://en.wikipedia.org/wiki/Compact_fluorescent_lamp
 +
<li>전자식 안정기 Electrical ballast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al_ballast
 
</ol>
 
</ol>
<li>OmniBER에서
+
<li> https://m.blog.naver.com/mumasa/221066015751
<ol>image:j1409a00_047_014.jpg
 
image:j1409a00_047_015.jpg
 
image:j1409a00_047_016.jpg
 
image:j1409a00_047_017.jpg
 
image:j1409a00_047_018.jpg
 
</gallery>
 
 
</ol>
 
</ol>
 
</ol>
 
</ol>

2022년 6월 7일 (화) 16:58 기준 최신판

형광등

  1. 전자부품
    1. 조명
      1. 형광등 - 이 페이지
        1. 가정용
          1. 직관형 형광등
          2. 콤팩트 형광등
        2. 산업용 등
          1. UV 형광등
          2. CCFL
        3. 인버터 형광등스탠드
      2. 고압트랜스
  2. 기술정보
    1. 형광등에서 수은을 사용한다. 유사파장을 갖는 수은 대체 물질은 XeCl 이 있는데 발광효율이 현저히 낮다.
      1. 50~70torr의 네온,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고 수mg의 수은을 넣는다.
      2. 유리관 양단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기장에 의해 전자가 가속되어 수은을 여기시킨다. 이 때 185nm 253.7nm 자외선이 나오고, 유리벽에 발라진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선으로 바뀐다.
      3. 60torr에서 수은은 242도씨에서 완전 증발한다. 통상 점등시 관벽온도는 100도씨이므로 미량의 수은만이 기화하고 이동한다.
      4. 램프 길이가 길수록 전압을 높여야한다.
    2. 위키페디아
      1. 형광등 https://en.wikipedia.org/wiki/Fluorescent_lamp
        1. CCLF https://en.wikipedia.org/wiki/Fluorescent_lamp#Cold-cathode_fluorescent_lamps
          1. 냉음극 시동방식.
            1. 반대가 열음극 형광램프(음극을 500도씨로 가열해야 하므로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한다.)
            2. 가열해야 하므로 켜지는 속도가 늦다.
            3. 가열 필라멘트 금속이 가늘어 쉽게 끊어져 수명이 짧다.
          2. 유리관을 가늘게 할 수 있다. 효율은 열음극에 비해 낮다. 그러나 hollow cathode 효과로 고휘도를 보인다.
          3. 봉입가스 압력이 낮을수록 광특성 및 효율이 좋아지지만 수명은 낮아진다. 50~80torr에서 3만시간 이상 수명을 보인다.
          4. 전자가 전극에 부딪히면 스퍼링에 의해 구멍이 뚫릴수도 있고 비산물질과 수은이 화학반응하여 아말감을 형성하여 유효수은이 줄어든다.
          5. 전극면적이 널어야 하므로 hollow 형태의 cup(금속 골무형태)으로 전극을 만든다.
          6. 전자충돌로 전극도 국부적으로 가열되므로 빨갛게 보인다.
      2. 냉음극 https://en.wikipedia.org/wiki/Cold_cathode
        1. 전류 제한이 필요하므로 복잡한 고전압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다.
        2. 초기 아크를 생성하려면 매우 높은 전압이 필요하지만, 튜브가 가열되면 저항이 크게 떨어지므로, 전류를 낮추거나 공급전압을 낮추어야 한다.
      3. CCFL 인버터 https://en.wikipedia.org/wiki/CCFL_inverter
        1. resonance type circuit(공진형 회로)를 이용한다.
      4. 콤팩트 형광등 Compact fluorescent lamp https://en.wikipedia.org/wiki/Compact_fluorescent_lamp
      5. 전자식 안정기 Electrical ballast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al_ballast
    3. https://m.blog.naver.com/mumasa/221066015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