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lent U9397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Agilent U9397A <ol> <li>링크 <ol> 전자부품 <ol> <li> 네트워크분석 <ol> <li> RF스위치 <ol> <li> Agilent U9397A SPDT RF 스위치 - 이 페이지 <li> H...)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Agilent U9397A
 
Agilent U9397A
 
<ol>
 
<ol>
<li>링크
+
<li> [[전자부품]]
<ol> [[전자부품]]
 
 
<ol>
 
<ol>
<li> [[네트워크분석]]
+
<li>계측기-분석기
 +
<ol>
 +
<li> [[네트워크분석기]]
 
<ol>
 
<ol>
 
<li> [[RF스위치]]
 
<li> [[RF스위치]]
 
<ol>
 
<ol>
 
<li> [[Agilent U9397A]] SPDT RF 스위치 - 이 페이지
 
<li> [[Agilent U9397A]] SPDT RF 스위치 - 이 페이지
<li> [[Herotek S2D0518A4]] SPDT RF 스위치
 
 
</ol>
 
</ol>
 
</ol>
 
</ol>
 
</ol>
 
</ol>
 
</ol>
 
</ol>
 +
<li>설명, FET Solid State Switche(SPDT)
 +
<ol>
 +
<li>300kHz~8GHz SPDT, 100만원(?)
 +
<ol>
 +
<li>삽입손실 3.5dB 이내
 +
<li>아이솔레이션 100dB 이상
 +
<li>반사손실 15dB 이상(ON) 18dB 이상(OFF)
 +
<li>안정시간 350us 이하
 +
<li>스위칭 settling, 5/0.5us rise/fall time
 +
<li>최대, 평균 29dBm 입력전력
 +
<li>+12~+24V Vdc 단일전원
 +
<li>CTRL ON 전압: +2.4~5V, OFF 전압: 0~0.8V
 +
<li>각 RF port에 가할 수 있는 DC 전압은 -2.5V~+2.5V
 +
</ol>
 +
<li>데이터 시트
 +
<ol>
 +
<li>핵심 기능
 +
<ol>
 +
<li>누설전압이 10mVpp로 낮아, 이에 민감한 부품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한다.
 +
<li>누화가 낮아 격리가 8GHz에서 100dB 이상이다.
 +
<li>안정시간(settling time)이 350usec 이다.
 +
<ol>
 +
<li>반면에 전형적인 다른 제품 GaAs FET 스위치는 Settling time 이 50ms 이상으로 오래 걸린다.
 +
<li>안정시간(최종값에 0.01dB 차이로 도달되는 시간)은 350usec인, 스위칭 속도는 0.5usec이다.
 +
</ol>
 +
<li>TTL/CMOS 제어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
</ol>
 +
<li>GaAs FET 장점
 +
<ol>
 +
<li>GaAs FET 스위치 동작주파수는 DC부터 가능하다.
 +
<li>반면에 PIN 스위치는 주파수가 낮아지면 선형 저항기처럼 동작한다. 그러므로 10MHz 미만에서는 잘 동작하지 않는다.
 +
<li>GaAs FET 스위치의 단점은 소위 말하는 gate lag 때문에 안정시간이 오래걸린다. 개선을 하면 breakdown voltage 및 내전력이 낮아진다.
 +
<li>이 제품은 350us 이내로 개선했다.
 +
</ol>
 +
</ol>
 +
<li>주의
 +
<ol>
 +
<li>Vdc +12V 인가하고 open된 CTRL 단자를 측정하면 -4.0V가 나온다. 그러므로 CTRL ON 효과를 갖는다.
 +
<li>-80uA 흐른다.
 +
<li>반드시 short 회로를 만들어 전압을 낮추어야 한다.
 +
</ol>
 +
</ol>
 +
<li>어떤 자작 스위칭 장치에서
 +
<gallery>
 +
image:u9397a_01_002.jpg
 +
image:u9397a_01_003.jpg
 +
</gallery>
 +
<li>스위칭 장치 두 대 분해 후, 버리면서 나온 4개
 +
<gallery>
 +
image:u9397a_01_004.jpg | DC블록이 꼽혀 있는 제품도 있다.
 +
image:u9397a_01_005.jpg | S/N
 +
image:u9397a_01_006.jpg | Recycling codes 40. 밑에 FE라고 덧붙인다. [[금속]] 철을 말한다.
 +
</gallery>
 
<li>그중 한 개를 분해 촬영 후 다시 조립함
 
<li>그중 한 개를 분해 촬영 후 다시 조립함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01.jpg | 전선연결 쪽 십자나사 2개 풀면 된다.
 
image:u9397a_02_001.jpg | 전선연결 쪽 십자나사 2개 풀면 된다.
image:u9397a_02_002.jpg | 납땜 핀과 연결된 스프링으로 3개 접점이 연결된다.
+
image:u9397a_02_002.jpg | 외부 핀은 [[포고핀]]에 사용되는 스프링으로 PCB에 있는 3개 접점과 연결된다.
 
image:u9397a_02_003.jpg | LM2941 1A Adjustable Regulator // ADG413BR, Precision Quad SPST Switches // LP2951ACM Adjustable Micropower Voltage Regulators // LT1054 voltage converter and regulator
 
image:u9397a_02_003.jpg | LM2941 1A Adjustable Regulator // ADG413BR, Precision Quad SPST Switches // LP2951ACM Adjustable Micropower Voltage Regulators // LT1054 voltage converter and regulator
 
image:u9397a_02_004.jpg
 
image:u9397a_02_004.jpg
 
</gallery>
 
</gallery>
<li>스위치 뚜껑을 벗김
+
<li>RF 스위칭 회로를 보호하는 금속 뚜껑을 벗김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05.jpg
 
image:u9397a_02_005.jpg
 
image:u9397a_02_006.jpg
 
image:u9397a_02_006.jpg
image:u9397a_02_007.jpg | 도전성 가스켓
+
image:u9397a_02_007.jpg | [[EMI]] 차폐용 도전성 elastomer 가스켓
 
</gallery>
 
</gallery>
<li>내부
+
<li>스위칭 회로가 있는 금속 상자 내부
 
<ol>
 
<ol>
 
<li>내부
 
<li>내부
33번째 줄: 86번째 줄:
 
image:u9397a_02_008.jpg
 
image:u9397a_02_008.jpg
 
</gallery>
 
</gallery>
<li>GaAs FET SPDT 스위치 3개 사용
+
<li>3개 포트에 각각 GaAs FET SPDT [[RF스위치IC]] 3개 사용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13.jpg
 
image:u9397a_02_013.jpg
 
image:u9397a_02_010.jpg
 
image:u9397a_02_010.jpg
image:u9397a_02_014.jpg
+
image:u9397a_02_014.jpg | TC742, 로트번호 HFAD, JUN 97, Agilent M C [[Copyright]]
 
</gallery>
 
</gallery>
<li>SMA 커넥터 연결
+
<li> [[RF 커넥터와 PCB 연결]]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09.jpg | 기판에서 용접한 후, 커넥터 꼽고 용접
+
image:u9397a_02_009.jpg | 철망을 기판에 용접한 후, 커넥터 꼽고 용접
 
</gallery>
 
</gallery>
<li>PIN bias 기판
+
<li>PIN 다이오드를 위한 bias 전압 전달용 기판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12.jpg
 
image:u9397a_02_012.jpg
 
image:u9397a_02_021.jpg
 
image:u9397a_02_021.jpg
 
</gallery>
 
</gallery>
<li>50오옴 Termination 용 기판
+
<li>사용하지 않는 포트를 종단시키는 [[50오옴 저항기]], RF 성능을 위해 Scan 컷 [[레이저 트리밍]]을 실시함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22.jpg
+
image:u9397a_02_022.jpg | 제품 가장 왼쪽에서
image:u9397a_02_015.jpg
+
image:u9397a_02_015.jpg | 제품 가장 오른쪽에서
image:u9397a_02_016.jpg
+
image:u9397a_02_016.jpg | 해당 기판 표시 1GT1-3897 TERM10R_6
 
</gallery>
 
</gallery>
<li>bias 과전압 방지를 위한 제너(?)다이오드
+
<li>shunt로 연결된, 두 개 병렬인 low resistance [[PIN다이오드]] (로 추정)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11.jpg
 
image:u9397a_02_011.jpg
 
image:u9397a_02_019.jpg
 
image:u9397a_02_019.jpg
 
</gallery>
 
</gallery>
<li>제너(?) 다이오드?
+
<li>제너(?) [[다이오드]] [[와이어본딩]]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17.jpg
 
image:u9397a_02_017.jpg
 
image:u9397a_02_018.jpg
 
image:u9397a_02_018.jpg
 
</gallery>
 
</gallery>
<li>레이저 트리밍 패턴 및 저항 측정을 위한 프루빙 자국
+
<li> [[레이저 트리밍]] 패턴 및 저항 측정을 위해 [[프루브카드]] 바늘로 찍은 자국
 +
<gallery>
 +
image:u9397a_02_020.jpg | 높이가 없는, L컷
 +
</gallery>
 +
</ol>
 +
<li> [[RF스위치 동작실험]]
 +
<ol>
 +
<li>ctrl 전압인가에 따른 주파수 특성 엑셀 파일
 +
<ol>
 +
<li>CTRL OFF
 
<gallery>
 
<gallery>
image:u9397a_02_020.jpg
+
image:rf_switch_test03_001.png | 모든 포트는 매칭된다.
 +
image:rf_switch_test03_002.png | COM에서 port1로 RF가 전달(transfer)된다.
 
</gallery>
 
</gallery>
 +
<li>CTRL ON
 +
<gallery>
 +
image:rf_switch_test03_003.png | 모든 포트는 매칭된다.
 +
image:rf_switch_test03_004.png | COM에서 port2로 RF가 전달(transfer)된다.
 +
</gallery>
 +
</ol>
 
</ol>
 
</ol>
 
</ol>
 
</ol>

2023년 4월 14일 (금) 20:36 기준 최신판

Agilent U9397A

  1. 전자부품
    1. 계측기-분석기
      1. 네트워크분석기
        1. RF스위치
          1. Agilent U9397A SPDT RF 스위치 - 이 페이지
  2. 설명, FET Solid State Switche(SPDT)
    1. 300kHz~8GHz SPDT, 100만원(?)
      1. 삽입손실 3.5dB 이내
      2. 아이솔레이션 100dB 이상
      3. 반사손실 15dB 이상(ON) 18dB 이상(OFF)
      4. 안정시간 350us 이하
      5. 스위칭 settling, 5/0.5us rise/fall time
      6. 최대, 평균 29dBm 입력전력
      7. +12~+24V Vdc 단일전원
      8. CTRL ON 전압: +2.4~5V, OFF 전압: 0~0.8V
      9. 각 RF port에 가할 수 있는 DC 전압은 -2.5V~+2.5V
    2. 데이터 시트
      1. 핵심 기능
        1. 누설전압이 10mVpp로 낮아, 이에 민감한 부품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한다.
        2. 누화가 낮아 격리가 8GHz에서 100dB 이상이다.
        3. 안정시간(settling time)이 350usec 이다.
          1. 반면에 전형적인 다른 제품 GaAs FET 스위치는 Settling time 이 50ms 이상으로 오래 걸린다.
          2. 안정시간(최종값에 0.01dB 차이로 도달되는 시간)은 350usec인, 스위칭 속도는 0.5usec이다.
        4. TTL/CMOS 제어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2. GaAs FET 장점
        1. GaAs FET 스위치 동작주파수는 DC부터 가능하다.
        2. 반면에 PIN 스위치는 주파수가 낮아지면 선형 저항기처럼 동작한다. 그러므로 10MHz 미만에서는 잘 동작하지 않는다.
        3. GaAs FET 스위치의 단점은 소위 말하는 gate lag 때문에 안정시간이 오래걸린다. 개선을 하면 breakdown voltage 및 내전력이 낮아진다.
        4. 이 제품은 350us 이내로 개선했다.
    3. 주의
      1. Vdc +12V 인가하고 open된 CTRL 단자를 측정하면 -4.0V가 나온다. 그러므로 CTRL ON 효과를 갖는다.
      2. -80uA 흐른다.
      3. 반드시 short 회로를 만들어 전압을 낮추어야 한다.
  3. 어떤 자작 스위칭 장치에서
  4. 스위칭 장치 두 대 분해 후, 버리면서 나온 4개
  5. 그중 한 개를 분해 촬영 후 다시 조립함
  6. RF 스위칭 회로를 보호하는 금속 뚜껑을 벗김
  7. 스위칭 회로가 있는 금속 상자 내부
    1. 내부
    2. 3개 포트에 각각 GaAs FET SPDT RF스위치IC 3개 사용
    3. RF 커넥터와 PCB 연결
    4. PIN 다이오드를 위한 bias 전압 전달용 기판
    5. 사용하지 않는 포트를 종단시키는 50오옴 저항기, RF 성능을 위해 Scan 컷 레이저 트리밍을 실시함
    6. shunt로 연결된, 두 개 병렬인 low resistance PIN다이오드 (로 추정)
    7. 제너(?) 다이오드 와이어본딩
    8. 레이저 트리밍 패턴 및 저항 측정을 위해 프루브카드 바늘로 찍은 자국
  8. RF스위치 동작실험
    1. ctrl 전압인가에 따른 주파수 특성 엑셀 파일
      1. CTRL OFF
      2. CTRL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