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6 소켓 LED 전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63번째 줄: 63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li>(정격전류 10W로 추정되는) 어떤 전구 #1 - 16/09/17 사진
+
<li>(정격전류 10W로 추정되는) 어떤 전구
 
<ol>
 
<ol>
<li>LED driver, QH7935 규격서  
+
<li>공통
<li>사진
+
<ol>
 +
<li>LED driver IC, QH7935 규격서  
 +
</ol>
 +
<li>제품 #1 - 2016/09/17 사진
 +
<ol>
 +
<li>나사소켓이 돌지 않도록 고정되지 않아, (비교적) 무거운 전구에 진동이 가해져 풀려 떨어진 듯.
 +
<gallery>
 +
image:led_lamp02_001.jpg
 +
</gallery>
 +
<li>방열구조
 
<gallery>
 
<gallery>
image:led_lamp02_001.jpg | 무거워 떨어지면서 분리됨.
 
 
image:led_lamp02_002.jpg
 
image:led_lamp02_002.jpg
 
image:led_lamp02_003.jpg | 알루미늄 PCB
 
image:led_lamp02_003.jpg | 알루미늄 PCB
74번째 줄: 82번째 줄:
 
image:led_lamp02_005.jpg | 케이스도 알루미늄 방열판
 
image:led_lamp02_005.jpg | 케이스도 알루미늄 방열판
 
image:led_lamp02_006.jpg
 
image:led_lamp02_006.jpg
 +
</gallery>
 +
<li>LED 배열
 +
<gallery>
 
image:led_lamp02_007.jpg | YL 2015.05.08 5.6x3.0 LED 36개
 
image:led_lamp02_007.jpg | YL 2015.05.08 5.6x3.0 LED 36개
 +
image:led_lamp02_007_001.png | S6P3 배열
 +
</gallery>
 +
<li>컨버터
 +
<gallery>
 
image:led_lamp02_008.jpg
 
image:led_lamp02_008.jpg
image:led_lamp02_009.jpg
+
image:led_lamp02_009.jpg | LED Drive, model 6-10 X1W
 +
</gallery>
 +
<li>동작중 전압파형
 +
<gallery>
 
image:led_lamp02_010.png | Vrms=34.2V Vp-p=2.7V 120Hz
 
image:led_lamp02_010.png | Vrms=34.2V Vp-p=2.7V 120Hz
 
image:led_lamp02_011.jpg | 34.2/12=@2.85V
 
image:led_lamp02_011.jpg | 34.2/12=@2.85V
 
</gallery>
 
</gallery>
<li>직렬 병렬 조사 12개 직렬, 병렬 3
 
<ol>
 
<li>1 20  2 21  3  4  5  6  7  8 22 31
 
<li>23 24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li>32 33 34 35 25 26 27 28 29 36 30 19
 
 
</ol>
 
</ol>
</ol>
+
<li>제품 #2 - 2019/03/21 사진(내 책상 위 천정에 설치된 것에서 펑 소리가 나서)
<li>(정격전류 10W로 추정되는) 어떤 전구 #2 - 19/03/21 사진(내 책상 위 천정에 설치된 것에서 펑 소리가 나서)
 
 
<ol>
 
<ol>
 
<li>고장
 
<li>고장
 
<gallery>
 
<gallery>
 
image:led_lamp08_000.jpg
 
image:led_lamp08_000.jpg
 +
image:led_lamp08_002.jpg | AC 전극에 [[녹]](오랫동안 전해액이 나온듯)
 +
</gallery>
 +
<li>AC220 입력쪽 [[저항기 퓨즈]] 파괴
 +
<gallery>
 +
image:led_lamp08_007.jpg
 +
</gallery>
 +
<li>전해C가 고장
 +
<gallery>
 
image:led_lamp08_001.jpg | 전해 캔이 돌아다님
 
image:led_lamp08_001.jpg | 전해 캔이 돌아다님
image:led_lamp08_002.jpg | AC 전극에 녹(오랫동안 전해액이 나온듯)
+
image:led_lamp08_003.jpg | 쉽게 녹는 [[열수축 튜브]]
image:led_lamp08_003.jpg
 
 
image:led_lamp08_004.jpg
 
image:led_lamp08_004.jpg
 
image:led_lamp08_005.jpg
 
image:led_lamp08_005.jpg
 
image:led_lamp08_006.jpg
 
image:led_lamp08_006.jpg
image:led_lamp08_007.jpg | AC220 입력쪽 저항 파괴
 
 
</gallery>
 
</gallery>
 
<li>HP 계측기(OmniBER 725, 2001년 제조품)에서 사용된 KME 전해캐퍼시터와 비교
 
<li>HP 계측기(OmniBER 725, 2001년 제조품)에서 사용된 KME 전해캐퍼시터와 비교
 
<gallery>
 
<gallery>
image:led_lamp08_008.jpg
+
image:led_lamp08_008.jpg | KME 전해C 외관
image:led_lamp08_009.jpg
+
image:led_lamp08_009.jpg | 위쪽이 문제의 전해C
image:led_lamp08_010.jpg
+
image:led_lamp08_010.jpg | 직경이 작은쪽이 문제품
image:led_lamp08_011.jpg
+
image:led_lamp08_011.jpg | 직경이 작은쪽이 문제품
image:led_lamp08_012.jpg
+
image:led_lamp08_012.jpg | 직경이 작은쪽이 문제품
 +
</gallery>
 +
</ol>
 +
<li>제품 #3 - 2022/01/05
 +
<ol>
 +
<li>불이 켜져 있지 않아
 +
<gallery>
 +
image:led_lamp_e26_06_001.jpg
 +
</gallery>
 +
<li>LED
 +
<gallery>
 +
image:led_lamp_e26_06_002.jpg
 +
image:led_lamp_e26_06_003.jpg
 +
image:led_lamp_e26_06_011.png | 0.1A @33V
 +
</gallery>
 +
<li> [[LE-5150]] LED 파워서플라이용 전자부하에 걸어서 검사해보니 컨버터가 동작하지 않음.
 +
<ol>
 +
<li>컨버터 절연. 접착제가 내부에 발라져 있는 [[열수축 튜브]]를 씌웠다. 열방출에 불리한 듯(???)
 +
<gallery>
 +
image:led_lamp_e26_06_004.jpg
 +
image:led_lamp_e26_06_005.jpg | 온도 때문에 빨강전선이 갈색으로 변했다.
 +
</gallery>
 +
<li>납땜된 리드가 서서히 뽑히고 있다.
 +
<gallery>
 +
image:led_lamp_e26_06_006.jpg
 +
image:led_lamp_e26_06_007.jpg
 +
</gallery>
 +
<li>코팅 에폭시가 갈라져 있다.
 +
<gallery>
 +
image:led_lamp_e26_06_008.jpg | 인덕터
 +
image:led_lamp_e26_06_009.jpg | 고압C
 +
</gallery>
 +
<li>35V 100uF 전해C를 측정하니 1nF 용량을 보인다. 전해액이 모두 증발했다.
 +
<gallery>
 +
image:led_lamp_e26_06_010.jpg | 왼쪽 전해C 튜브가 (뜨거워져) 찢어졌다.
 
</gallery>
 
</gallery>
 +
<li>고장원인: 밝히지 못했지만, 컨버터 IC가 뜨거워져 고장난 듯
 +
</ol>
 +
</ol>
 
</ol>
 
</ol>
 
<li>삼성, STIILW730080114AAA - 삼성LED 주식회사, 2010년 카탈로그에 등장, 2010/03/24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일
 
<li>삼성, STIILW730080114AAA - 삼성LED 주식회사, 2010년 카탈로그에 등장, 2010/03/24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일
119번째 줄: 174번째 줄:
 
<gallery>
 
<gallery>
 
image:led_lamp03_003.jpg
 
image:led_lamp03_003.jpg
image:led_lamp03_007.jpg | 로트번호(아래 분석품은 다른제품임)
+
image:led_lamp03_007.jpg | 제품#1 K5030070606VSM(아래 분석품은 다른제품임)
 
</gallery>
 
</gallery>
<li>분해함
+
<li>2017/01/17 제품#2 K5030071106VSM을 분해함. (두 개 있는 듯)
 +
<ol>
 +
<li>사진
 
<gallery>
 
<gallery>
 
image:led_lamp03_004.jpg
 
image:led_lamp03_004.jpg
131번째 줄: 188번째 줄:
 
image:led_lamp03_007_001.png | 측정하니 9W, PF 0.38나옴
 
image:led_lamp03_007_001.png | 측정하니 9W, PF 0.38나옴
 
</gallery>
 
</gallery>
 +
</ol>
 +
<li>2022/01/10 제품#2가 깜빡거려,
 +
<ol>
 +
<li>고장품 사진
 +
<gallery>
 +
image:led_lamp03_008.jpg | 책상 비추는 4개에서 LED만 올해 두 개 고장. 남은 2개는 형광등
 +
image:led_lamp03_009.jpg | LED 모듈 측정, 내부 SMPS 측정
 +
image:led_lamp03_010.jpg | 내부 SMPS는 수지로 몰딩되어 있어 꺼낼 수 없다.
 +
</gallery>
 +
<li>AC 전압에 따른 전류,소모전력,PF 측정
 +
<gallery>
 +
image:led_lamp03_012.png | 5년 측정 데이터와 비교. 효율이 나빠졌고, 변동이 심해졌다.
 +
</gallery>
 +
<li>SMPS 및 LED를 측정함.
 +
<gallery>
 +
image:led_lamp03_011.png | LED 모듈만 측정. 약 36~38V 가해야 한다.
 +
image:led_lamp03_013.png | 부하저항에 따라, SMPS 출력 전압 측정 - 문제 있다.
 +
image:led_lamp03_014.png | 부하저항에 따라 SMPS 출력전류가 불안정하다. - 고장이다.
 +
</gallery>
 +
</ol>
 
</ol>
 
</ol>
 
<li>필립스, LED메가브라이트 램프 18W(0.15A), 2000루멘, 6500K
 
<li>필립스, LED메가브라이트 램프 18W(0.15A), 2000루멘, 6500K

2022년 1월 10일 (월) 17:03 판

E26 소켓 LED 전구

  1. 전자부품
    1. LED
      1. LED-조명
        1. E26 소켓 LED 전구 - 이 페이지
          1. 깜빡이는 LED 전구-1
  2. CMYK bulb(CMYK lamps) by Dennis Parren, 대니스 패런의 CMYK 전구
    1. 정보: 2013/04 designer Dennis Parren has developed a light bulb that casts coloured shadows.
      1. The design is a commercial development of the one-off CMYK lamps that Parren developed as part of his graduation project at Design Academy Eindhoven in 2011.
    2. 발견
      1. 2021/12/10, 속초 매자식당 벽면에서
  3. E26 소켓 LED 전구
    1. 어떤 전구(모델명이 없음)
      1. 2019/11/10 집에서 사용중, 5번 번쩍번쩍하다가 켜지지 않음.
      2. SMPS
      3. 모듈 구조
      4. 위 사진처럼 켜진 5개 직렬 회로를 측정
      5. 형광체 에폭시와 패키지 사이가 떨어져, 검정 잉크가 쉽게 들어감
    2. (정격전류 10W로 추정되는) 어떤 전구
      1. 공통
        1. LED driver IC, QH7935 규격서
      2. 제품 #1 - 2016/09/17 사진
        1. 나사소켓이 돌지 않도록 고정되지 않아, (비교적) 무거운 전구에 진동이 가해져 풀려 떨어진 듯.
        2. 방열구조
        3. LED 배열
        4. 컨버터
        5. 동작중 전압파형
      3. 제품 #2 - 2019/03/21 사진(내 책상 위 천정에 설치된 것에서 펑 소리가 나서)
        1. 고장
        2. AC220 입력쪽 저항기 퓨즈 파괴
        3. 전해C가 고장
        4. HP 계측기(OmniBER 725, 2001년 제조품)에서 사용된 KME 전해캐퍼시터와 비교
      4. 제품 #3 - 2022/01/05
        1. 불이 켜져 있지 않아
        2. LED
        3. LE-5150 LED 파워서플라이용 전자부하에 걸어서 검사해보니 컨버터가 동작하지 않음.
          1. 컨버터 절연. 접착제가 내부에 발라져 있는 열수축 튜브를 씌웠다. 열방출에 불리한 듯(???)
          2. 납땜된 리드가 서서히 뽑히고 있다.
          3. 코팅 에폭시가 갈라져 있다.
          4. 35V 100uF 전해C를 측정하니 1nF 용량을 보인다. 전해액이 모두 증발했다.
          5. 고장원인: 밝히지 못했지만, 컨버터 IC가 뜨거워져 고장난 듯
    3. 삼성, STIILW730080114AAA - 삼성LED 주식회사, 2010년 카탈로그에 등장, 2010/03/24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일
      1. 기존 형광등을 사용하는 등기구
      2. 대체함, 530lm, 66lm/W, 8W, PF 0.9
      3. 2017/01/17 제품#2 K5030071106VSM을 분해함. (두 개 있는 듯)
        1. 사진
        2. 위 로트번호를 갖는 제품, 전압에 따른 소모전력
      4. 2022/01/10 제품#2가 깜빡거려,
        1. 고장품 사진
        2. AC 전압에 따른 전류,소모전력,PF 측정
        3. SMPS 및 LED를 측정함.
    4. 필립스, LED메가브라이트 램프 18W(0.15A), 2000루멘, 6500K
      1. 2017/11/01 동탄이마트에서 약 12,000원 구입
      2. 분해 방법
      3. 삼성 8W LED 제품과 비교
      4. 내부 LED칩 배열
    5. 필립스, 2019/05/05 다이소에서 5,000원 구입
    6. 에너자이저, 2019/05/05 다이소에서 5,000원 구입
    7. 이마트 수입, 중국 Dongyang Tospo Lighting Optoelectronics Co., Ltd.
      1. 상품 - LED 스틱전구, 5개 2019/09/18 구입 17,980원, 정격광속 1400루멘, 정격전력 14W, 광원색 6500K, 제조년월 2018년 8월
      2. 분해
      3. 타 제품과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