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쓰루 EMI필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피드쓰루 EMI필터 <ol> <li> 전자부품 <ol> <li> RLC <ol> <li> 인덕터 <ol> <li> LC필터 <ol> <li> 피드쓰루 EMI필터 - 이 페이지 </ol> </ol> </o...)
 
잔글
 
10번째 줄: 10번째 줄:
 
<ol>
 
<ol>
 
<li> [[피드쓰루 EMI필터]] - 이 페이지
 
<li> [[피드쓰루 EMI필터]] - 이 페이지
 +
<li> [[관통C]] - 이 페이지
 
</ol>
 
</ol>
 
</ol>
 
</ol>
 +
</ol>
 +
<li>참조
 +
<ol>
 +
<li> [[EMI]]
 +
<li> [[튜브C]]
 +
<li> [[피드쓰루]] - 단순 절연기능만 있는
 
</ol>
 
</ol>
 
</ol>
 
</ol>
18번째 줄: 25번째 줄:
 
<li>C-L-C(pi필터) 구조
 
<li>C-L-C(pi필터) 구조
 
</ol>
 
</ol>
<li>feedthrough EMI filter
+
<li>피드쓰루 EMI필터; feedthrough EMI filter
 +
<li>수평 배치
 +
<ol>
 +
<li> [[HP 70420A Test Set]]에서, 페라이트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음. 사용하지 않았으면 [[튜브C]]가 된다.
 +
<gallery>
 +
image:e5501b04_018.jpg | [[피드쓰루 EMI필터]]
 +
</gallery>
 +
</ol>
 +
<li>관통 납땜 (동네에서는 관통콘덴서라고 부른다.)
 
<ol>
 
<ol>
 
<li>RS-232C 어댑터에서
 
<li>RS-232C 어댑터에서
39번째 줄: 54번째 줄:
 
</ol>
 
</ol>
 
</ol>
 
</ol>
<li>Tescom TC-5910DP 실드 박스(shield box), DC 전원 커넥터에서
+
<li> National [[VP-7722A]] 오디오 분석기에서, 디지털 회로 보드가 있는 [[실드 깡통]]을 통과하는
 +
<ol>
 +
<li>신호선 [[피드쓰루 EMI필터]]
 +
<gallery>
 +
image:vp7722a_049.jpg
 +
image:vp7722a_050.jpg
 +
image:vp7722a_051.jpg
 +
image:vp7722a_052.jpg
 +
image:vp7722a_053.jpg
 +
image:vp7722a_054.jpg
 +
image:vp7722a_054_002.jpg
 +
</gallery>
 +
</ol>
 +
<li> [[RF 모듈레이터]]
 +
<gallery>
 +
image:tuner03_003.jpg | [[피드쓰루 EMI필터]]
 +
</gallery>
 +
</ol>
 +
<li>나사 형태
 +
<ol>
 +
<li> [[OmniBER 725, Optical Interface]]에서
 +
<gallery>
 +
image:j1409a00_025_082.jpg | DC 전원 연결에 [[피드쓰루 EMI필터]] 를 사용함.
 +
</gallery>
 +
<li>Tescom TC-5910DP [[실드 박스]](shield box), DC 전원 커넥터에서
 
<gallery>
 
<gallery>
 
image:box_shield02_026.jpg
 
image:box_shield02_026.jpg
51번째 줄: 90번째 줄:
 
image:feedthrough01_006.jpg | C-L-C 조합을 pi filter라 한다.
 
image:feedthrough01_006.jpg | C-L-C 조합을 pi filter라 한다.
 
</gallery>
 
</gallery>
<li> National [[VP-7722A]] 오디오 분석기에서, 디지털 회로 보드가 있는 [[실드깡통]]을 통과하는
+
<li> National [[VP-7722A]] 오디오 분석기에서, 디지털 회로 보드가 있는 [[실드 깡통]]을 통과하는
 
<ol>
 
<ol>
 
<li>전원전압용 [[피드쓰루 EMI필터]]
 
<li>전원전압용 [[피드쓰루 EMI필터]]
60번째 줄: 99번째 줄:
 
image:vp7722a_009_002.jpg
 
image:vp7722a_009_002.jpg
 
image:vp7722a_009_003.jpg
 
image:vp7722a_009_003.jpg
image:vp7722a_009_004.jpg
+
image:vp7722a_009_004.jpg | TDK
</gallery>
 
<li>신호선 [[피드쓰루 EMI필터]]
 
<gallery>
 
image:vp7722a_049.jpg
 
image:vp7722a_050.jpg
 
image:vp7722a_051.jpg
 
image:vp7722a_052.jpg
 
image:vp7722a_053.jpg
 
image:vp7722a_054.jpg
 
image:vp7722a_054_002.jpg
 
 
</gallery>
 
</gallery>
 
<li> [[피드쓰루 EMI필터]]의 주파수 특성 측정 데이터  
 
<li> [[피드쓰루 EMI필터]]의 주파수 특성 측정 데이터  
90번째 줄: 119번째 줄:
 
</ol>
 
</ol>
 
</ol>
 
</ol>
 +
<li> [[NoiseKen ESS-606A]]
 +
<gallery>
 +
image:ess_606a01_001_026.jpg | 회로보드와 연결된 [[피드쓰루 EMI필터]]
 +
</gallery>
 +
<li> [[E5060A B-H Z Analyzer]], SMPS의 DC 전원 출력 단자에 적용되고 있음.
 +
<gallery>
 +
image:e5060a01_005_003.jpg | 10Hz~20MHz까지 측정하는 계측기이므로
 +
image:e5060a01_006_002.jpg | 안쪽에서 볼 때
 +
image:e5060a01_006_004.jpg
 +
image:e5060a01_006_005.jpg | 나사를 돌려 풀어보면
 +
</gallery>
 +
<li> [[RM-103 리플 미터]]
 +
<gallery>
 +
image:rm_103_01_012.jpg | [[피드쓰루 EMI필터]]
 +
</gallery>
 
</ol>
 
</ol>
 
</ol>
 
</ol>

2024년 4월 6일 (토) 22:25 기준 최신판

피드쓰루 EMI필터

  1. 전자부품
    1. RLC
      1. 인덕터
        1. LC필터
          1. 피드쓰루 EMI필터 - 이 페이지
          2. 관통C - 이 페이지
    2. 참조
      1. EMI
      2. 튜브C
      3. 피드쓰루 - 단순 절연기능만 있는
  2. 설명
    1. C-L-C(pi필터) 구조
  3. 피드쓰루 EMI필터; feedthrough EMI filter
  4. 수평 배치
    1. HP 70420A Test Set에서, 페라이트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음. 사용하지 않았으면 튜브C가 된다.
  5. 관통 납땜 (동네에서는 관통콘덴서라고 부른다.)
    1. RS-232C 어댑터에서
      1. RS-232 커넥터 ->
        1. SCI(Spectrum Control Inc.) API TECHNOLOGIES 56-705-009 (D-Sub EMI Filtered Connectors, series 700, Pin/Socket Adapter)
        2. 분해
    2. National VP-7722A 오디오 분석기에서, 디지털 회로 보드가 있는 실드 깡통을 통과하는
      1. 신호선 피드쓰루 EMI필터
    3. RF 모듈레이터
  6. 나사 형태
    1. OmniBER 725, Optical Interface에서
    2. Tescom TC-5910DP 실드 박스(shield box), DC 전원 커넥터에서
    3. National VP-7722A 오디오 분석기에서, 디지털 회로 보드가 있는 실드 깡통을 통과하는
      1. 전원전압용 피드쓰루 EMI필터
      2. 피드쓰루 EMI필터의 주파수 특성 측정 데이터
        1. 전원전압용 관통필터
        2. 디지털신호용 관통필터
        3. 그래프
    4. NoiseKen ESS-606A
    5. E5060A B-H Z Analyzer, SMPS의 DC 전원 출력 단자에 적용되고 있음.
    6. RM-103 리플 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