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치스크린

Togotech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4월 16일 (목) 09:37 판

Touch Screen

  1. 링크
    1. 근접
    2. 터치스크린
    3. 터치패드
  2. 저항식
    1. 연속형
      1. 내비게이션에서, 아이트로닉스 ITE-1000(ipass combo), 하이패스 일체형 내비게이션
        1. 3부분
        2. 터치패널은 삼성 LCD 패널 모델에 속하지 않음.
        3. 동작원리
          1. X축 위치를 위해서는. 1-3번에 전압 V0을 인가하고, 2 또는 4번에서 전압 V1을 읽는다. V1/V0가 위치이다.
          2. Y축 위치를 위해서는, 2-4번에 전압 V0을 인가하고, 1 또는 3번에서 전압 V1을 읽는다. V1/V0가 위치이다.
          3. 두 번 측정하면 된다.(고 한다.)
      2. 휴대폰에서
        1. 2010년 6월 출시된 GT-C3300 2G 휴대폰에 적용된, TFT 2.4" 320x240 QVGA용 터치패널로 추정
    2. 매트릭스형
      1. Yokogawa TA320 계측기에서
        1. 터치스크린(유리+PET필름 사이에 물 들어가 중심 부근 전극이 녹아 동작하지 않음. 분리해서 닦아도 동일)
        2. 투명전극 두 장을 분리하면 - 가로 10개, 세로 6개
          1. 첫번째 촬영
          2. 두번째 촬영
        3. 유리면과 PET 필름면에 형성된 투명 전도막 저항 측정
        4. 플라스틱 필름면에 발라진 ITO 표면 확대 사진
      2. 거칠기, 조도 측정기 Kosaka Surfcorder SE-1700a
        1. 외관
        2. 터치스크린(20x15cell, 9.6x7.2cm, 대각선 12cm, 4.72인치) 불량
  3. 정전식
    1. 내비게이션 에서
      1. 3부분
      2. 터치패널은 삼성 LCD 패널 모델에 속하지 않음.
    2. 스마트폰에서
      1. 삼성 갤럭시 그랜드 프라임, SM-G5308W, 2014년 10월 출시
        1. 외관
        2. 주변 공통 전극
        3. 센서패턴
        4. 테스트 패턴
      2. 삼성 Galaxy A7(SM-A720F) 2017년 출시
        1. 디스플레이+터치+강화유리 패널
        2. 뜯으면
        3. 강화유리 + TSP(유리 두께 0.2mm) , 접착제 0.3mm, 강화유리두께 0.77mm
        4. TSP에서 테스트 패턴(2.5um 해상도 공정)
      3. SM-G390F(로 추정, 영국향)
        1. 외관, 2017년 출시, 720x1280도트, 294 ppi
        2. TSP, 14x23 = 322 cell C값을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