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V-E210K"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10번째 줄: 110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li>후면 본체
+
<li>후면
 +
<ol>
 +
<li>T-DMB용 [[채찍 안테나]] = [[whip]] 안테나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27.jpg | T-DMB 안테나
 
image:shv_e210k_027.jpg | T-DMB 안테나
116번째 줄: 118번째 줄:
 
image:shv_e210k_029.jpg
 
image:shv_e210k_029.jpg
 
image:shv_e210k_030.jpg
 
image:shv_e210k_030.jpg
image:shv_e210k_031.jpg | 안테나 4개 접점 위치
+
</gallery>
 +
<li>안테나 4개 접점 위치
 +
<gallery>
 +
image:shv_e210k_031.jpg
 +
</gallery>
 +
<li>상단
 +
<ol>
 +
<li>관심
 +
<gallery>
 
image:shv_e210k_032.jpg
 
image:shv_e210k_032.jpg
image:shv_e210k_033.jpg | USB 소켓에 완충고무
 
 
image:shv_e210k_034.jpg | 스피커 모듈 = 스피커 + 이어폰 단자 + 안테나
 
image:shv_e210k_034.jpg | 스피커 모듈 = 스피커 + 이어폰 단자 + 안테나
 
image:shv_e210k_035.jpg | 3.5mm 이어폰 소켓을 고무로 흔들림 충격을 완충함
 
image:shv_e210k_035.jpg | 3.5mm 이어폰 소켓을 고무로 흔들림 충격을 완충함
 +
</gallery>
 +
<li>상단 [[PIFA]] 안테나 - Diversity Cellular, GPS
 +
<gallery>
 
image:shv_e210k_036.jpg | 표면에 안테나 패턴이 보인다.
 
image:shv_e210k_036.jpg | 표면에 안테나 패턴이 보인다.
image:shv_e210k_037.jpg | Diversity Cellular, GPS
+
image:shv_e210k_037.jpg
 +
</gallery>
 +
</ol>
 +
<li>하단
 +
<ol>
 +
<li>관심
 +
<gallery>
 +
image:shv_e210k_033.jpg | USB 소켓에 완충고무
 +
</gallery>
 +
<li>하단 [[PIFA]] 안테나 - WiFi, Main Cellular
 +
<gallery>
 
image:shv_e210k_038.jpg
 
image:shv_e210k_038.jpg
 
image:shv_e210k_039.jpg | 표면에 안테나 전극 패턴이 보임
 
image:shv_e210k_039.jpg | 표면에 안테나 전극 패턴이 보임
image:shv_e210k_040.jpg | WiFI, Main Cellular
+
image:shv_e210k_040.jpg
 
</gallery>
 
</gallery>
<li>
+
</ol>
 +
</ol>
 +
<li>메인 보드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42.jpg
 
image:shv_e210k_042.jpg
 
image:shv_e210k_044.jpg | CML0801 카메라용 이미지처리 IC
 
image:shv_e210k_044.jpg | CML0801 카메라용 이미지처리 IC
 
</gallery>
 
</gallery>
<li>메인보드 중요 부위 A면
+
<li>메인보드, AP 관련 부품면
<gallery>
 
image:shv_e210k_050.jpg
 
image:shv_e210k_052.jpg
 
image:shv_e210k_053.jpg | FCI FC7860, 2G/3G RF-IC // TriQuint 7M5005 PAM
 
image:shv_e210k_054.jpg
 
</gallery>
 
<li>메인보드 중요 부위 B면
 
 
<ol>
 
<ol>
 
<li>전체
 
<li>전체
145번째 줄: 162번째 줄:
 
image:shv_e210k_051.jpg
 
image:shv_e210k_051.jpg
 
</gallery>
 
</gallery>
<li>Exynos AP를 뜯으면
+
<li> [[모바일AP]], Exynos 4 Quad 4412 칩을 뜯으면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51_001.jpg
 
image:shv_e210k_051_001.jpg
image:shv_e210k_051_002.jpg | 마더보드 10층
+
image:shv_e210k_051_002.jpg | 마더보드 [[유기물기판]] 10층
 
</gallery>
 
</gallery>
 
<li>위에 있는 DRAM를 뜯으면, PoP
 
<li>위에 있는 DRAM를 뜯으면, PoP
155번째 줄: 172번째 줄:
 
image:shv_e210k_051_004.jpg
 
image:shv_e210k_051_004.jpg
 
</gallery>
 
</gallery>
<li>3층까지만 확인 - 6층 PCB인듯.
+
<li>AP용 기판을 3층까지만 확인 - [[유기물기판]] 6층 인듯.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51_005.jpg | 1층
 
image:shv_e210k_051_005.jpg | 1층
 
image:shv_e210k_051_006.jpg | 1-2층사이 비아
 
image:shv_e210k_051_006.jpg | 1-2층사이 비아
 
image:shv_e210k_051_007.jpg | 2층
 
image:shv_e210k_051_007.jpg | 2층
image:shv_e210k_051_008.jpg | 3층, MLCC 4개 넣을 수 있는 자리가 있는데, 있지 않다.
+
image:shv_e210k_051_008.jpg | 3층, MLCC 4개 넣을 수 있는 자리가 있는데 넣지 않았다. 그러므로 [[임베디드PCB]]가 아니다.
 
</gallery>
 
</gallery>
 
</ol>
 
</ol>
<li>WiFi 모듈
+
<li>메인보드, RF 관련 부품면
 +
<gallery>
 +
image:shv_e210k_050.jpg
 +
image:shv_e210k_052.jpg
 +
image:shv_e210k_053.jpg | FCI FC7860, 2G/3G RF-IC // TriQuint 7M5005 PAM
 +
image:shv_e210k_054.jpg
 +
</gallery>
 +
<li> [[WiFi 모듈(핸드폰)]]
 
<ol>
 
<ol>
<li>외관, KM3305012 VM
+
<li>외관, KM3305012 VM 무라타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55.jpg | 숫돌로 표면을 갈아낸 흔적이 보인다.
 
image:shv_e210k_055.jpg | 숫돌로 표면을 갈아낸 흔적이 보인다.
 
</gallery>
 
</gallery>
<li>액체 에폭시 몰딩품을 벗기면
+
<li>윗면 액체 에폭시 몰딩품을 벗기면
 +
<ol>
 +
<li>WiFi IC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55_001.jpg | Broadcom BCM4334XKWBG, 208 bump, 5GHz WiFi, 2.4GHz WiFi/BT, FM radio
 
image:shv_e210k_055_001.jpg | Broadcom BCM4334XKWBG, 208 bump, 5GHz WiFi, 2.4GHz WiFi/BT, FM radio
 
</gallery>
 
</gallery>
<li>윗면
+
<li> [[LTCC 기판]]이 보일 때까지 수지를 계속 제거하면서 분석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55_002.jpg | 초록색 LTCC 기판을 두고 위아래 에폭시 몰딩
 
image:shv_e210k_055_002.jpg | 초록색 LTCC 기판을 두고 위아래 에폭시 몰딩
180번째 줄: 206번째 줄:
 
image:shv_e210k_055_005.jpg | LTCC
 
image:shv_e210k_055_005.jpg | LTCC
 
</gallery>
 
</gallery>
 +
</ol>
 
<li>아랫면
 
<li>아랫면
 +
<ol>
 +
<li>외관
 +
<gallery>
 +
image:shv_e210k_055_006.jpg | 윗면과 달리 딱딱한 트랜스퍼 몰딩
 +
</gallery>
 +
<li>수지를 제거하면서 분석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55_006.jpg | 딱딱한 트랜스퍼 몰딩
+
image:shv_e210k_055_007.jpg | 수동부품들이 탑재됨
image:shv_e210k_055_007.jpg
+
image:shv_e210k_055_008.jpg | 구리 기둥을 SMT한 후 몰딩한 듯
image:shv_e210k_055_008.jpg | 구리기둥
 
image:shv_e210k_055_009.jpg | LTCC
 
 
</gallery>
 
</gallery>
 +
<li> [[LTCC 기판]]
 +
<gallery>
 +
image:shv_e210k_055_009.jpg
 +
</gallery>
 +
</ol>
 
</ol>
 
</ol>
<li>FEMiD
+
<li> [[FEMiD]]
 
<ol>
 
<ol>
 
<li>화살표가 가리키는 부품
 
<li>화살표가 가리키는 부품
196번째 줄: 232번째 줄:
 
<li>액체 에폭시 몰딩품을 벗기면
 
<li>액체 에폭시 몰딩품을 벗기면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85_001.jpg | 분홍 LTCC 위에 (사용하지 않는?)듀플렉서가 5개 보인다.
+
image:shv_e210k_085_001.jpg | 분홍 [[LTCC 기판]] 위에 (사용하지 않는?)듀플렉서가 5개 보인다.
 
</gallery>
 
</gallery>
 
<li>칩 10개를 뜯어내기 위해
 
<li>칩 10개를 뜯어내기 위해
202번째 줄: 238번째 줄:
 
image:shv_e210k_085_002.jpg | 망실되지 않게 테이프를 붙이고, 칼로 밀어 넣었으나...
 
image:shv_e210k_085_002.jpg | 망실되지 않게 테이프를 붙이고, 칼로 밀어 넣었으나...
 
</gallery>
 
</gallery>
<li>패키지 및 칩
+
<li> [[LTCC 기판]] 및 칩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85_003.jpg
 
image:shv_e210k_085_003.jpg
210번째 줄: 246번째 줄:
 
image:shv_e210k_085_017.jpg
 
image:shv_e210k_085_017.jpg
 
</gallery>
 
</gallery>
<li>DPX 1 - Rx칩 없음.
+
<li>DPX 1 - Rx 다이 없음.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85_006.jpg
 
image:shv_e210k_085_006.jpg
image:shv_e210k_085_007.jpg
+
image:shv_e210k_085_007.jpg | [[IDT C]] 패턴
 
</gallery>
 
</gallery>
 
<li>DPX 2
 
<li>DPX 2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85_008.jpg
+
image:shv_e210k_085_009.jpg | Tx 다이, CF58-A1
image:shv_e210k_085_009.jpg
+
image:shv_e210k_085_008.jpg | Rx 다이, CF60-A1
 
</gallery>
 
</gallery>
 
<li>DPX 3
 
<li>DPX 3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85_010.jpg
+
image:shv_e210k_085_010.jpg | Tx 다이
image:shv_e210k_085_011.jpg
+
image:shv_e210k_085_011.jpg | Rx 다이, BC27-A1
 
</gallery>
 
</gallery>
 
<li>DPX 4
 
<li>DPX 4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85_012.jpg
+
image:shv_e210k_085_012.jpg | Tx 다이, BC79-A1
image:shv_e210k_085_013.jpg
+
image:shv_e210k_085_013.jpg | Rx 다이
 
</gallery>
 
</gallery>
 
<li>DPX 5
 
<li>DPX 5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85_014.jpg
+
image:shv_e210k_085_014.jpg | Tx 다이
image:shv_e210k_085_015.jpg
+
image:shv_e210k_085_015.jpg | Rx 다이, BD36-A1(?), 예외적으로 X축 방향이 길다.
 
</gallery>
 
</gallery>
 
</ol>
 
</ol>
324번째 줄: 360번째 줄: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58.jpg
 
image:shv_e210k_058.jpg
image:shv_e210k_059.jpg | 마킹판독성을 높이깅 위해 검정 니켈도금
+
image:shv_e210k_059.jpg | 레이저 마킹 판독성을 높이깅 위해 검정 니켈 [[도금]]
 
</gallery>
 
</gallery>
<li>LTCC 패키지
+
<li> [[LTCC 기판]]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60.jpg
+
image:shv_e210k_060.jpg | SAW 다이가 있을 때. 접지 비아가 무척 많다.
image:shv_e210k_060_000.jpg
+
image:shv_e210k_060_000.jpg | SAW 다이를 제거한 후
 
</gallery>
 
</gallery>
 
<li>다이 패턴
 
<li>다이 패턴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60_001.jpg | 솔더볼
 
image:shv_e210k_060_001.jpg | 솔더볼
image:shv_e210k_060_002.jpg | 3군데 확대 영역
+
image:shv_e210k_060_002.jpg | 정전기로 파괴된 3군데 확대 영역
 
</gallery>
 
</gallery>
<li>정전기 파괴 영역1
+
<li>[[정전기]] 파괴 영역1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60_003.jpg
 
image:shv_e210k_060_003.jpg
 
image:shv_e210k_060_004.jpg
 
image:shv_e210k_060_004.jpg
 
image:shv_e210k_060_005.jpg
 
image:shv_e210k_060_005.jpg
image:shv_e210k_060_006.jpg | 주기 2.33um, 전극폭 0.58um
+
image:shv_e210k_060_006.jpg | 주기 2.33um, 3900m/s라면 약 1675MHz
 
</gallery>
 
</gallery>
<li>정전기 파괴 영역2 - 동일 전위를 갖는 반사기임에도 정전파괴가 관찰된다.
+
<li>[[정전기]] 파괴 영역2 - 동일 전위를 갖는 반사기임에도 정전파괴가 관찰된다.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60_007.jpg
 
image:shv_e210k_060_007.jpg
 
image:shv_e210k_060_008.jpg
 
image:shv_e210k_060_008.jpg
 
</gallery>
 
</gallery>
<li>정전기 파괴 영역3
+
<li>[[정전기]] 파괴 영역3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60_009.jpg
 
image:shv_e210k_060_009.jpg
 
</gallery>
 
</gallery>
<li>다이싱 방법, V-shaped dicing blade로 bevel half cut 한 후 다음에 full cut한다. (참고: step cut은 두꺼운 블레이드로 1차)
+
<li> [[다이싱]], V-shaped dicing blade로 bevel half cut 한 후 다음에 full cut한다. (참고: step cut은 두꺼운 블레이드로 1차 자르고, 가는 블레이드로 완전히 자르는 방법을 말한다.)
 
<gallery>
 
<gallery>
 
image:shv_e210k_060_010.jpg
 
image:shv_e210k_060_010.jpg

2021년 3월 26일 (금) 23:48 판

삼성 갤럭시 S3, SHV-E210K

  1. 링크
    1. 전자부품
      1. 핸드폰
        1. 2012 삼성 갤럭시 S3 SHV-E210K - 이 페이지
  2. 기술자료
    1. 외부 링크
      1. 삼성전자 홈 페이지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HV-E210KMB1KC/
      2. 나무위키 https://namu.wiki/w/%EA%B0%A4%EB%9F%AD%EC%8B%9C%20S%20III
      3. 2012년 출시
    2. 분해제품 모델: SHV-E210K, 제조연월일 2013년 6월 18일
      1. 사용주파수
        1. LTE Band3 1800MHz
        2. 3G UMTS(WCDMA) B2:1900, B1:2100
        3. 2G GSM GSM900 DCS1800 PCS1900
      2. 뒷면 메인카메라: 800만화소, 전면 보조카메라: 190만화소
  3. 뒤 뚜껑을 열면
  4. NFC 안테나가 붙어 있는 배터리
    1. 외형
    2. 라벨 테이프 벗기면, NFC 안테나가 보인다.
    3. NFC 안테나와 접촉 단자 연결
    4. NFC 안테나 측정 - 이렇게 측정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다.
      1. 측정 사진
      2. 네트워크분석기 측정 데이터
  5. 후면에 있는 메인용 핸드폰용 이미지센서
    1. 외관
    2. ball bushing bearing 및 voice coil을 사용한 카메라 액추에이터
    3. 거리 정보에 따라 AF용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 프로그래밍된) 드라이버(?)
    4. 렌즈바렐 위치를 알기 위한 홀소자
    5. 실험하기 위해 코일 연결
      1. 실험 사진
      2. 엑셀파일 -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아직 모르겠음.
    6. 이미지 센서
  6. 후면
    1. T-DMB용 채찍 안테나 = whip 안테나
    2. 안테나 4개 접점 위치
    3. 상단
      1. 관심
      2. 상단 PIFA 안테나 - Diversity Cellular, GPS
    4. 하단
      1. 관심
      2. 하단 PIFA 안테나 - WiFi, Main Cellular
  7. 메인 보드
  8. 메인보드, AP 관련 부품면
    1. 전체
    2. 모바일AP, Exynos 4 Quad 4412 칩을 뜯으면
    3. 위에 있는 DRAM를 뜯으면, PoP
    4. AP용 기판을 3층까지만 확인 - 유기물기판 6층 인듯.
  9. 메인보드, RF 관련 부품면
  10. WiFi 모듈(핸드폰)
    1. 외관, KM3305012 VM 무라타
    2. 윗면 액체 에폭시 몰딩품을 벗기면
      1. WiFi IC
      2. LTCC 기판이 보일 때까지 수지를 계속 제거하면서 분석
    3. 아랫면
      1. 외관
      2. 수지를 제거하면서 분석
      3. LTCC 기판
  11. FEMiD
    1.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품
    2. 액체 에폭시 몰딩품을 벗기면
    3. 칩 10개를 뜯어내기 위해
    4. LTCC 기판 및 칩
    5. DPX 1 - Rx 다이 없음.
    6. DPX 2
    7. DPX 3
    8. DPX 4
    9. DPX 5
  12. SAW-핸드폰RF
    1. 1~9번까지 RF필터 9개 SAW 다이가 위치한 곳
    2. 칩 1,2, GPS 모듈에서
      1. SAW-GPS, 1.4x1.1mm
      2. #1, 마킹 hDUZ
      3. #2, 마킹 eE D1
    3. 칩 3,4, 2G GSM GSM900 DCS1800+PCS1900,
      1. 외관
      2. GSM900, 942.5MHz, 1.4x1.1mm, 싱글, 와이솔 마킹 9PUY
      3. DCS1800(Rx 1842.5MHz)+PCS1900(Rx 1960MHz), 1.5x1.1mm, 듀얼, 무라다 마킹 ZE SL
    4. 칩 5, Rx 1830MHz(근처의 밴드), 1.4x1.1mm, 무라타 마킹 ???
    5. 칩 6,7, 1.4x1.1mm 싱글, 무라타 마킹 LB a5 와 AB LT
      1. 외관
      2. 왼쪽 쏘필터
      3. 오른쪽 쏘필터
    6. 칩 8, 1.4x1.1mm, 무라타 마킹 FF S9
  13. SAW-핸드폰DPX
    1. 칩 9, Epcos 7968, 2.5x2.0x0.95mm, Band3 1747.5/1842.5MHz 듀플렉서, Rx는 balance-out
      1. 외관
      2. LTCC 기판
      3. 다이 패턴
      4. 정전기 파괴 영역1
      5. 정전기 파괴 영역2 - 동일 전위를 갖는 반사기임에도 정전파괴가 관찰된다.
      6. 정전기 파괴 영역3
      7. 다이싱, V-shaped dicing blade로 bevel half cut 한 후 다음에 full cut한다. (참고: step cut은 두꺼운 블레이드로 1차 자르고, 가는 블레이드로 완전히 자르는 방법을 말한다.)
  14. RF용L
  15. 핸드폰에서 발견한 대기압 센서
    1. 외관
    2. 윗 뚜껑을 벗기면 캐비티 유기물기판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3. 압력센서
    4. 신호처리 IC
    5. 두 IC 합성사진
    6. chip-on-chip 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본딩
    7. 질산 처리 후, 신호처리 IC의 와이어본딩 패드
    8. 멤브레인에 크랙을 가한 후 - 초음파세척을 하니
    9. 멤브레인을 제거한 후 - 초음파세척을 계속하니
    10. 다이싱
  16. 기타
    1. 핸드폰용 근접센서
    2. 리시버용 스피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