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용 스피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52번째 줄: 52번째 줄:
 
image:fujitsue8410_037.jpg
 
image:fujitsue8410_037.jpg
 
image:fujitsue8410_037_001.jpg
 
image:fujitsue8410_037_001.jpg
 +
</gallery>
 +
<li> [[iPad A1219]] [[태블릿 컴퓨터]] 에서
 +
<gallery>
 +
image:a1219_007.jpg
 +
image:a1219_009.jpg | 화살표 두 개는 두 스피커 백볼륨 구멍
 
</gallery>
 
</gallery>
 
<li>2013년 11월 출시 [[노트북]], [[Gigabyte P34]]
 
<li>2013년 11월 출시 [[노트북]], [[Gigabyte P34]]
119번째 줄: 124번째 줄:
 
</gallery>
 
</gallery>
 
</ol>
 
</ol>
 +
</ol>
 +
<li>2020년 05월 출시 [[노트북]], [[MS Surface Book 3]] - 이 페이지
 +
<ol>
 +
<li>위치
 +
<gallery>
 +
image:surface_book3_018.jpg | 본체 밑에 얇은 탄성테이프가 있어 부딪히는 진동을 제거한다.
 +
</gallery>
 +
<li>보드를 살펴보면 코일 두 개가 병렬 연결되어 동작한다.
 +
<gallery>
 +
image:surface_book3_038.jpg | (오른쪽 박스, 좌상단에 배출구가 있다.) 스피커박스에 코일이 두 개이다. 왜?
 +
image:surface_book3_038_001.jpg | 두 코일 위상차를 180도로 연결
 +
</gallery>
 +
<li>어느 한 스피커에서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
<ol>
 +
<li>임피던스 그래프
 +
<gallery>
 +
image:surface_book3_038_002.png
 +
</gallery>
 +
<li>의견
 +
<ol>
 +
<li>얇고 넓은 진동판을 하모닉없이 기본모드로 진동시키기 위해 코일을 두 개 사용하는 듯.
 +
<li>만약 두 코일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극성 교차해서 병렬) 공진주파수는 저주파로 이동된다. 실제 소리를 들어보면 음량이 무척 작아진다.
 +
</ol>
 +
</ol>
 +
<li>분해하면
 +
<gallery>
 +
image:surface_book3_038_003.jpg | 꽤 두꺼운 동박. 왜 붙였을까? 스피커박스가 가장 두꺼워 위에 있는 LCD 패널을 확실히 접촉하여 접지시키기 위해서인듯
 +
image:surface_book3_038_004.jpg | 병렬로 연결된 독립 스피커.
 +
image:surface_book3_038_005.jpg | 백볼륨을 늘리기 위해 스폰지를 사용
 +
image:surface_book3_038_006.jpg | 표면적을 최대한 넓혀야 하는 스폰지
 +
</gallery>
 
</ol>
 
</ol>
 
</ol>
 
</ol>

2022년 11월 22일 (화) 13:59 기준 최신판

노트북용 스피커

  1. 링크
    1. 전자부품
      1. 스피커
        1. 노트북용 스피커 - 이 페이지
  2. 2003년 05월 제조 노트북, LG IBM T40
  3. 2006년 07월 출시 노트북, Compaq nx6320
    1. 임피던스 측정
    2.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분해하면서
      1. 분해전
      2. 보호망을 뜯고 측정함
      3. speaker back volume 관찰
      4. 백볼륨 하우징을 뜯어내면서 망가짐 -> 앞으로는 하우징을 톱으로 잘라낼 것.
  4. 2007년 07월 출시 노트북, Fujitsu E8410
  5. iPad A1219 태블릿 컴퓨터 에서
  6. 2013년 11월 출시 노트북, Gigabyte P34
  7. 2013년 12월 출시 노트북, LG 15N53에서
  8. 2015년 12월 제조 노트북, Lenovo ideapad 700-15isk
    1. 외형
    2. LOL-1, R, 5SB0K32894, Harman, JBL, 2015/12/02
      1. 구조
      2. 분해 전후 임피던스 측정
      3. 틴셀 와이어와 외부 전선을 연결 https://en.wikipedia.org/wiki/Tinsel_wire
      4. 영구자석과 무빙코일
      5. 콘지 ? 와 댐퍼? 부착 방법
      6. 틴셀 와이어와 코일과 연결
    3. LOL-1, L, 5SB0K32893, Harman, JBL, 2015/12/02
      1. 측정 4가지
      2. 분해 전후 임피던스 측정
  9. 2020년 05월 출시 노트북, MS Surface Book 3 - 이 페이지
    1. 위치
    2. 보드를 살펴보면 코일 두 개가 병렬 연결되어 동작한다.
    3. 어느 한 스피커에서 임피던스 측정 엑셀 파일
      1. 임피던스 그래프
      2. 의견
        1. 얇고 넓은 진동판을 하모닉없이 기본모드로 진동시키기 위해 코일을 두 개 사용하는 듯.
        2. 만약 두 코일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극성 교차해서 병렬) 공진주파수는 저주파로 이동된다. 실제 소리를 들어보면 음량이 무척 작아진다.
    4. 분해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