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파이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히트파이프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산업용 <ol> <li> 발열소자 <li> 방열 <ol> <li> 히트파이프 </ol> <li> 오븐 <li> 핫...)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li>산업용
 
<li>산업용
 
<ol>
 
<ol>
<li> [[발열소자]]
 
 
<li> [[방열]]
 
<li> [[방열]]
 
<ol>
 
<ol>
<li> [[히트파이프]]
+
<li> [[히트파이프]] - 이 페이지
</ol>
+
<ol>
<li> [[오븐]]
+
<li> [[RAM 방열]]
<li> [[핫플레이트]]
 
<li> [[펠티어]]
 
<li> [[단열재]]
 
 
</ol>
 
</ol>
<li>가정용
 
<ol>
 
<li> [[가정용발열기기]]
 
 
</ol>
 
</ol>
 
</ol>
 
</ol>
<li>위키 링크
 
<ol>
 
<li> https://en.wikipedia.org/wiki/Heat_spreader
 
<li> https://en.wikipedia.org/wiki/Heat_sink
 
<li> https://en.wikipedia.org/wiki/Heat_pipe
 
<li> https://en.wikipedia.org/wiki/Thermal_grease
 
 
</ol>
 
</ol>
 
</ol>
 
</ol>
 
<li>기술문서
 
<li>기술문서
 
<ol>
 
<ol>
 +
<li>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Heat_pipe
 
<li> - 25p
 
<li> - 25p
 
</ol>
 
</ol>
 +
<li>노트북에서
 +
<ol>
 
<li> [[Fujitsu E8410]] 노트북에서
 
<li> [[Fujitsu E8410]] 노트북에서
 
<ol>
 
<ol>
67번째 줄: 57번째 줄:
 
image:heatpipe01_008.jpg | 얇은 Cu-Be 스프링판에 전류가해 가열
 
image:heatpipe01_008.jpg | 얇은 Cu-Be 스프링판에 전류가해 가열
 
</gallery>
 
</gallery>
<li>
+
<li>구멍을 뚫은 후
 +
<gallery>
 +
image:heatpipe01_009.jpg
 +
image:heatpipe01_010.jpg | 추정냉매 FLUTEC PP2  Perfluoromethylcyclohexane C7F14 BP: 76.0'C
 +
</gallery>
 +
<li>17/09/06 VI 커브 측정 엑셀 데이터
 +
<gallery>
 +
image:heatpipe01_011.png | 1,2,3,5배
 +
</gallery>
 +
</ol>
 +
<li>FC72용액넣고 밀봉하면 히트파이프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하고 시도했으나
 +
<gallery>
 +
image:heatpipe01_012.jpg | 실패
 +
</gallery>
 +
</ol>
 +
<li> [[LG IBM T40]] 노트북에서
 +
<ol>
 +
<li>전체
 +
<gallery>
 +
image:ibm_t40_065.jpg
 +
image:ibm_t40_086.jpg | CPU 바로 밑에서 히트파이프 고정나사 3개
 +
image:ibm_t40_090.jpg | CPU는 열전도그리스로, GPU는 열전도 가스켓으로
 +
image:ibm_t40_091.jpg | CPU
 +
image:ibm_t40_092.jpg | GPU
 +
</gallery>
 +
<li>팽각팬 및 히트파이프 어셈블리
 +
<gallery>
 +
image:ibm_t40_093.jpg
 +
image:ibm_t40_178.jpg
 +
image:ibm_t40_179.jpg
 +
image:ibm_t40_180.jpg
 +
image:ibm_t40_183.jpg | 공기 배출구에 방열핀
 +
</gallery>
 +
<li>히트파이프
 +
<gallery>
 +
image:ibm_t40_177.jpg | Furukawa Electric, Micro Heat-Pipe HP-HS
 +
</gallery>
 +
<li>냉각 팬
 +
<gallery>
 +
image:ibm_t40_176.jpg | 팬모델: Toshiba MCF-205AM05
 +
image:ibm_t40_181.jpg
 +
image:ibm_t40_182.jpg
 +
image:ibm_t40_184.jpg
 +
image:ibm_t40_185.jpg
 +
image:ibm_t40_186.jpg | Sanyo LA6581
 +
</gallery>
 +
</ol>
 +
<li> [[Compaq nx6320]] 노트북
 +
<gallery>
 +
image:compaq_nx6320_031.jpg
 +
image:compaq_nx6320_057.jpg
 +
image:compaq_nx6320_032.jpg | 히트파이프가 부착된 방열판을 보드 밑에서 고정하는 방법
 +
image:compaq_nx6320_065.jpg
 +
image:compaq_nx6320_074.jpg
 +
</gallery>
 +
<li> [[Lenovo ideapad 700-15isk]] 노트북에서
 +
<ol>
 +
<li>전체
 +
<gallery>
 +
image:lenovo_ideapad_011.jpg
 +
image:lenovo_ideapad_040.jpg
 +
</gallery>
 +
<li>들어올리면
 +
<gallery>
 +
image:lenovo_ideapad_036.jpg
 +
image:lenovo_ideapad_041.jpg | 나사가 빠져 분실되지 않도록 와셔
 +
image:lenovo_ideapad_037.jpg | CPU와 GPU에는 써말 그리스
 +
image:lenovo_ideapad_038.jpg | 파워인덕터 및 FET 스위치 각각 3개에 열전도 완충 테이프
 +
image:lenovo_ideapad_039.jpg | 파워인덕터 및 FET 스위치 각각 2개에도 열전도 완충 테이프
 +
</gallery>
 
</ol>
 
</ol>
 +
<li> [[Gigabyte P34]] 노트북에서
 +
<ol>
 +
<li>냉각팬 및 히트파이프
 +
<gallery>
 +
image:gigabyte_p34_012.jpg
 +
image:gigabyte_p34_013.jpg
 +
image:gigabyte_p34_014.jpg
 +
</gallery>
 +
<li>히트파이프
 +
<gallery>
 +
image:gigabyte_p34_015.jpg
 +
image:gigabyte_p34_017.jpg
 +
</gallery>
 +
<li>히트파이프 고정
 +
<gallery>
 +
image:gigabyte_p34_016.jpg | 스크류
 +
image:gigabyte_p34_032.jpg | 너트
 +
</gallery>
 
</ol>
 
</ol>
 +
<li> [[LG 15N53]] 노트북
 +
<gallery>
 +
image:lg_15n53_010.jpg
 +
image:lg_15n53_011.jpg
 +
image:lg_15n53_011_001.jpg
 +
image:lg_15n53_011_002.jpg
 +
image:lg_15n53_011_003.jpg
 +
image:lg_15n53_011_004.jpg
 +
</gallery>
 +
<li>2013년 06월 제조 [[노트북]], [[LG울트라북 LGZ36]]에서
 +
<gallery>
 +
image:lgz36_01_007.jpg | TDP 17W CPU + HM76 칩셋 발열양이 작아서 팬이 (매우)작다.
 +
image:lgz36_01_008.jpg | 아래가 공기 토출구이므로 히트파이프를 식히는 곳
 +
</gallery>
 +
</ol>
 +
<li> [[비디오카드]]에서
 +
<ol>
 +
<li>ATi - 2009년 출시 HD4890 1GB
 +
<gallery>
 +
image:videocard_001.jpg | [[히트파이프]]
 +
image:videocard_006.jpg | 팬 및 히트싱크
 +
</gallery>
 +
<li>ATi Radeon HD3850에서, [[히트파이프]]+구리방열판
 +
<gallery>
 +
image:video_card07_005.jpg | 우측 [[DRAM]] 하나는 방열하지 않고 있음.
 +
image:video_card07_006.jpg
 +
image:video_card07_019.jpg
 +
image:video_card07_020.jpg
 +
image:video_card07_021.jpg | 히트파이프가 직접닿은 영역과 방열핀이 붙어 있는 구리방열판은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실리콘 방열패드
 +
</gallery>
 +
</ol>
 +
<li>계측기에서
 +
<ol>
 +
<li> [[Kikusui TOS9000]], Tr 방열
 +
<gallery>
 +
image:tos9000_002_005.jpg | 인버터용 Tr 방열용 히트파이프
 +
</gallery>
 +
</ol>
 +
<li>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
<gallery>
 +
image:ml7110b01_019.jpg
 +
image:ml7110b01_020.jpg
 +
image:ml7110b01_021.jpg | TS Moatronics Co., Ltd. Tokyo Japan
 +
</gallery>
 
</ol>
 
</ol>

2022년 8월 25일 (목) 12:07 기준 최신판

히트파이프

  1. 링크
    1. 전자부품
      1. 산업용
        1. 방열
          1. 히트파이프 - 이 페이지
            1. RAM 방열
  2. 기술문서
    1. 위키페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Heat_pipe
    2. - 25p
  3. 노트북에서
    1. Fujitsu E8410 노트북에서
      1. 내부
      2. 히트 파이프 구조
      3. 발열부분, 열전도성 고무
      4. 열화상 카메라로 실시간 측정할 때
      5. 가열하면서, 냉각효과 검증(정지공기,팬공기)(구멍뚫기전,후)
        1. 발열쪽 파이프를 가열하는 방법
        2. 구멍을 뚫은 후
        3. 17/09/06 VI 커브 측정 엑셀 데이터
      6. FC72용액넣고 밀봉하면 히트파이프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하고 시도했으나
    2. LG IBM T40 노트북에서
      1. 전체
      2. 팽각팬 및 히트파이프 어셈블리
      3. 히트파이프
      4. 냉각 팬
    3. Compaq nx6320 노트북
    4. Lenovo ideapad 700-15isk 노트북에서
      1. 전체
      2. 들어올리면
    5. Gigabyte P34 노트북에서
      1. 냉각팬 및 히트파이프
      2. 히트파이프
      3. 히트파이프 고정
    6. LG 15N53 노트북
    7. 2013년 06월 제조 노트북, LG울트라북 LGZ36에서
  4. 비디오카드에서
    1. ATi - 2009년 출시 HD4890 1GB
    2. ATi Radeon HD3850에서, 히트파이프+구리방열판
  5. 계측기에서
    1. Kikusui TOS9000, Tr 방열
  6.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