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필름R

Togotech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월 31일 (금) 11:41 판 (새 문서: 카본필름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 저항 <ol> 칩R , 칩점퍼 , 나선컷R , 카본필름R , 카본콤포지션R ,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카본필름

  1. 링크
    1. 전자부품
      1. 저항
          칩R , 칩점퍼 , 나선컷R , 카본필름R , 카본콤포지션R , 어레이R , 가변R , 표준R , 정밀R , 전류검출용R , 권선R , 잉크R , 점퍼R
  2. 기술
    1. 표기를 CR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2. 특징
      1. 카본콤포지션R을 크게 개선한 저항이다. 그러나 이후 metal film 및 metal oxide film 저항기 등장하여 현재 찾아볼 수 없다.
      2. 그러나 고압(~15kV까지),고온(~350'C까지)에 강하기 때문에 고압발생 전원공급기, 레이더, X-ray 및 레이저 장비 등에 사용된다.
    3. 제조 방법
      1. 약 1000도씨 고압챔버에서 메탄 또는 벤젠 가스를 crack 시켜 세라믹캐리어에 부착시킨다.
      2. crystalline carbon은 세라믹 캐리어에 pyrolytically deposited 된다.
      3. 별도의 binder없이 순수한 graphite를 잘 배열시키면 low noise 특성을 갖는다.
    4. 저항값 맞추기
      1. 필름 두께로 조정한다. 이후 spiral cut으로 조정할 수 있다.
      2. 허용오차는 2,5,10,20% 등이 있다. (온도계수가 나빠 100'C 사용범위에서 5% 변하므로...)
      3. (파나소닉 제품 ERD 시리즈에서는) 4.3오옴 이하는 금소피막을 사용한다.(탄소피막으로는 낮은 저항값은 불가능한 듯)
    5. 온도계수
      1. pure carbon의 온도계수는 큰 -(음수)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허용오차를 낮추는 것은 의미없다.
      2. -250~-800ppm/'C 정도이다.
  3. 적용 예
    1. 7060에서, 전원/디지털처리 보드에서
      1. 사진
      2. 31개 저항값 측정 엑셀 데이터 r-carbon-film-01
        1. 사진
        2. 의견
          1. 특히 1k오옴 제품에서 +15%~60%로 모두 저항값이 꽤 높아졌다.
          2. +-10% 허용편차에서 꽤 벗어난 제품이 많다.
          3. 사용 수지 재료 및 기구 구조상 강도에 매우 취약하여(흔들려) 저항값이 높아지는 쪽으로 경시변화가 일어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