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파이트 시트

Togotech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8월 25일 (목) 12:10 판 (새 문서: 그라파이트 시트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 방열 <li> 필름 <ol> <li> 그라파이트 시트 - 이 페이지 </ol> </ol> <li>참고 <ol...)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그라파이트 시트

  1. 링크
    1. 전자부품
      1. 방열
      2. 필름
        1. 그라파이트 시트 - 이 페이지
    2. 참고
      1. 서멀 패드
  2. 그라파이트 시트; graphite sheet
    1. 기술
      1. 열을 옆으로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두께 방향은 아니다. 단위길이당 열전달 능력은 수직1이라면 수평 >100이다.)
        1. 좁은 면적에서 방열을 고민할 때 사용한다.
        2. 인조 그라파이트와 천연 그라파이트가 있다.
          1. 인조 그라파이트는 원하는 두께를 위한 PI필름을 질소분위기에서 1100도씨 바인더 번아웃(binder burn-out)인 탄화작업을 한다.
          2. 이후 아르곤이 투입되는 2800~3000도씨 연속로에서 흑연화작업을 한다.
          3. 꽉 누르는 압연화 작업을 한다. 이 때 두께는 조금 조절된다. 각 시트를 붙여서 사용하지는 않는다.
        3. 천연 그라파이트는 두껍지만 크게 만들 수 있고 싸다. TV에 사용되는 발열IC에 사용한다.
        4. 등장 당시 휴대폰에서는 넓게 사용했으나, 갈수록 (비싸서) 좁은 면적만 사용한다.
        5. 휴대폰에서도 히트파이프 기술과 경쟁하는데, 히트 파이프가 적용한 후로 사용량이 줄고 있다.
          1. 전체를 동박으로 붙이고, 특별히 뜨거운 IC 영역만 그라파이트 시트를 붙인다.
  3. 휴대폰에서
    1. Xiaomi Redmi Note 4X 휴대폰에서
      1. anodized aluminum mid-frame에서 (방열용) 검정색 테이프 필름 두 가지
    2. Apple iPhone 5S
      1. 메인 보드 윗쪽 실드캔에서
      2. 화면 백라이트와 붙어 있는 금속판에서
      3. 그라파이트 필름을 뜯어
    3. 삼성 SM-G5308W 휴대폰에서
  4. 펠티어 냉각소자에서
    1. PTC-200 펠티어 오븐,
    2.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1. 냉각 모듈과 그라파이트 시트
      2. 펠티어그라파이트 시트
    3. ML-7110B, DPSS 레이저 모듈
  5. 공기와 접촉하여 방열하는(두껍다. 의외의 사용처이다.)
    1. 그라파이트 방열판
      1. 삼성 레이저 빔 프린터, SL-C460W, High Voltage 파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