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박 배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동박 배선 <ol> <li>링크 <ol> <li> 전자부품 <ol> <li> 기판 <ol> <li> 동박 배선 - 이 페이지 </ol> </ol> </ol> <li>멋있는 <ol> <li> E5100A 네트...)
 
잔글
 
8번째 줄: 8번째 줄:
 
<ol>
 
<ol>
 
<li> [[동박 배선]] - 이 페이지
 
<li> [[동박 배선]] - 이 페이지
 +
<li> [[동박 설계]]
 
</ol>
 
</ol>
 +
<li>참고
 +
<ol>
 +
<li> [[납땜 수정]]
 
</ol>
 
</ol>
 
</ol>
 
</ol>
<li>멋있는
+
</ol>
 +
<li>그냥, 또는 멋있는
 
<ol>
 
<ol>
 
<li> [[E5100A]] 네트워크분석기
 
<li> [[E5100A]] 네트워크분석기
19번째 줄: 24번째 줄:
 
image:e5100a02_042.jpg
 
image:e5100a02_042.jpg
 
image:e5100a02_043.jpg
 
image:e5100a02_043.jpg
 +
</gallery>
 +
<li>PC, 노트북 등에서
 +
<ol>
 +
<li> [[Pegatron IPM41-D3]] 마더보드
 +
<gallery>
 +
image:pentiume6700_01_018.jpg
 +
image:pentiume6700_01_019.jpg
 +
image:pentiume6700_01_020.jpg
 +
image:pentiume6700_01_021.jpg
 
</gallery>
 
</gallery>
 
<li> [[DELL studio1737]] 노트북에서
 
<li> [[DELL studio1737]] 노트북에서
33번째 줄: 47번째 줄:
 
image:ibm6230_050.jpg
 
image:ibm6230_050.jpg
 
image:ibm6230_051.jpg
 
image:ibm6230_051.jpg
 +
</gallery>
 +
</ol>
 +
<li> [[8960]] 무선 통신 테스트 세트, Host I/O 보드
 +
<gallery>
 +
image:8960_19_005.jpg | 칩부품을 위한 [[동박 배선]]
 +
</gallery>
 +
<li> [[삼성 SL-C460W 컬러레이저 복합기]]
 +
<gallery>
 +
image:slc460w_07_011.jpg
 +
image:slc460w_07_013.jpg
 +
image:slc460w_07_014.jpg
 +
image:slc460w_07_015.jpg | [[동박 배선]]
 +
image:slc460w_07_016.jpg | CPU 근처
 +
</gallery>
 +
<li> [[OmniBER 725, Multirate Analyzer]] 보드에 있는 Toshiba TC203G82, ASIC [[ASIC]]에서
 +
<gallery>
 +
image:j1409a00_028_044.jpg
 +
image:j1409a00_028_045.jpg
 +
image:j1409a00_028_048.jpg | 선폭 20um, 간격 60um 동박라인
 +
</gallery>
 +
</ol>
 +
<li>AC입력에서, 전류 도달 순서를 고려한
 +
<ol>
 +
<li> [[SMPS-LED]]
 +
<gallery>
 +
image:smps_led04_004.jpg | [[동박 배선]]. 입력과 출력에서 동박 경로에 순서가 정해져 있다.
 +
</gallery>
 +
<li> [[HP 85901A AC Power Source]] 충전기 회로에서
 +
<gallery>
 +
image:hp85901a01_043.png
 +
image:hp85901a01_039.jpg | 전류 흐름 순서를 고려한 [[동박 배선]]
 +
image:hp85901a01_041.jpg | C3에서 전류 흐름 순서를 고려한 [[동박 배선]]
 +
</gallery>
 +
<li> [[마이크로소프트 모델 1706 직류전원장치]]
 +
<gallery>
 +
image:surface_book3_004_020.jpg | AC220V 전류 도착시간이 다르므로, 첫번째 CMF - 필름C - 두 번째 CMF에 도달하도록 [[동박 배선]]이 우회하고 있다.
 +
</gallery>
 +
</ol>
 +
<li>(CAD가 없던) 옛날에 동박 라인
 +
<ol>
 +
<li>HP [[8112A]]에 사용된 [[brushless DC팬]] 제어 회로 PCB에서
 +
<gallery>
 +
image:bldc_buhler01_001.jpg
 +
image:bldc_buhler01_002.jpg
 +
</gallery>
 +
</ol>
 +
<li>손으로 그린듯한 부드러운
 +
<ol>
 +
<li>Takeda Riken [[TR6150]] DC 소스에서
 +
<gallery>
 +
image:tr6150_060.jpg
 +
image:tr6150_061.jpg
 +
</gallery>
 +
</ol>
 +
<li>직각으로 꺽은 동박 배선
 +
<ol>
 +
<li> HP [[59501A]] HP-IB Isolated D/A power supply programmer에서
 +
<gallery>
 +
image:hp59501a_005.jpg
 +
image:hp59501a_006.jpg
 +
</gallery>
 +
</ol>
 +
<li>동박 에칭을 최소화
 +
<ol>
 +
<li> [[UNISEF]], [[CDP]]에서
 +
<gallery>
 +
image:cdplayer01_021.jpg
 +
image:cdplayer01_077.jpg
 +
</gallery>
 +
</ol>
 +
<li>빈영역에 더미 동박배선
 +
<ol>
 +
<li> [[HP 70001A Mainframe]]
 +
<gallery>
 +
image:e5501b05_012.jpg
 +
image:e5501b05_013.jpg
 +
</gallery>
 +
<li> [[OmniBER]] 광통신용 계측기
 +
<gallery>
 +
image:j1409a00_047_010.jpg | 동박이 없는 곳에 더미 수평선 [[동박 배선]]
 
</gallery>
 
</gallery>
 
</ol>
 
</ol>
 
</ol>
 
</ol>

2022년 10월 22일 (토) 10:45 기준 최신판

동박 배선

  1. 링크
    1. 전자부품
      1. 기판
        1. 동박 배선 - 이 페이지
        2. 동박 설계
      2. 참고
        1. 납땜 수정
  2. 그냥, 또는 멋있는
    1. E5100A 네트워크분석기
    2. PC, 노트북 등에서
      1. Pegatron IPM41-D3 마더보드
      2. DELL studio1737 노트북에서
      3. IBM IntelliStation M Pro 6230 타워형 PC
    3. 8960 무선 통신 테스트 세트, Host I/O 보드
    4. 삼성 SL-C460W 컬러레이저 복합기
    5. OmniBER 725, Multirate Analyzer 보드에 있는 Toshiba TC203G82, ASIC ASIC에서
  3. AC입력에서, 전류 도달 순서를 고려한
    1. SMPS-LED
    2. HP 85901A AC Power Source 충전기 회로에서
    3. 마이크로소프트 모델 1706 직류전원장치
  4. (CAD가 없던) 옛날에 동박 라인
    1. HP 8112A에 사용된 brushless DC팬 제어 회로 PCB에서
  5. 손으로 그린듯한 부드러운
    1. Takeda Riken TR6150 DC 소스에서
  6. 직각으로 꺽은 동박 배선
    1. HP 59501A HP-IB Isolated D/A power supply programmer에서
  7. 동박 에칭을 최소화
    1. UNISEF, CDP에서
  8. 빈영역에 더미 동박배선
    1. HP 70001A Mainframe
    2. OmniBER 광통신용 계측기